"2030년 국내 신차 3대중 1대 수소전기차로" 미래 앞당긴다
2019.10.15 18:00
수정 : 2019.10.15 18:00기사원문
하지만 4년 전(2015년)만 해도 우리 자동차산업은 일본·독일 등에 이어 세계 5위였다.
정부가 15일 발표한 '미래자동차산업 발전전략'은 이런 위기감을 잘 보여준다. 이번 전략은 내연기관 중심의 기존 자동차산업 구조를 20년 안에 수소·전기차 중심의 미래차로 생태계를 완전히 바꾸겠다는 게 핵심이다.
이날 경기 화성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세계 7위의 자동차 생산 강국이 되었으나 추격형 경제는 분명히 한계가 있다. 미래차 시대는 추격자가 아니라 기술 선도국이 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2030년 수소·전기차 비중 확대"
이번 미래차 발전전략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2030년 친환경차 세계시장 선도(2030년 국내 신차비중 33%, 세계시장 점유율 10%) △2027년 완전자율주행(주요도로) 세계 최초 상용화 △민간·공공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 및 플라잉카 실용화 △2030년 부품기업 중 전장부품기업 비중 20% 확대 등 미래차 생태계 조기 전환이다. 여기에 현대자동차가 2025년까지 41조원 투자를 포함해 향후 10년간 60조원의 민간투자가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2030년 승용차부터 트럭·버스까지 모든 차종을 수소·전기차(친환경차)로 확충한다. 2025년에 전기차는 한번 충전으로 600㎞ 주행 가능, 충전속도는 현재의 3배로 올린다(2025년). 수소차는 부품 100%를 국산화(2022년)하고 차량가격도 4000만원대로 낮춘다. 수소가격도 2030년에 현재의 절반인 ㎏당 4000원 수준으로 내린다.
미래차 생태계 전환은 여러 인프라가 함께 구축돼야 한다. 기술인력 양성 및 기존인력 재배치는 물론, 소재·부품 자립 등이 그것이다. 이에 정부는 전장부품기업 비중을 현재 4%에서 2030년 20% 이상으로 늘린다. 미래차 전환에 필요한 '마중물'은 정부가 댄다. 자금 지원에서 미래차 설비투자, 사업전환 등에 2조원 이상을 추가 공급한다. 한국GM 협력업체 및 산업위기지역 부품업체에 대출보증 만기도 내년까지 연장한다.
■'미래차 전환' 연착륙 과제 많아
지난해 전세계 자동차시장(판매량 8601만대)은 ―0.5%로 9년 만에 역성장했다. 최대 시장인 중국도 28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2.8%)하면서 최근 4만여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우리도 6년 안에 자동차 생산인력이 최대 40%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같은 위기를 자동차업계는 역사상 최대의 격변기로 보고 구조조정, 미래기술투자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업종·규모의 경계도 무너뜨리고 동종·이종 기업 간 합종연횡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자동차산업은 여전히 고비용·저효율 등 구조적 문제에 발이 묶여 있다. 복잡하게 얽힌 관련규제, 미래차 전환에 따른 기존 생산인력 잉여 등 풀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 그만큼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산업을 미래차로의 구조 전환에는 상당한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