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진정 이후 유동성 회수땐 신흥국 '긴축 발작' 일어날 수도"
2020.05.31 17:37
수정 : 2020.05.31 17:37기사원문
5월 31일 한국은행은 해외경제포커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신흥국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서 "감염증 확산세 진정 이후 선진국 중앙은행이 공급한 막대한 유동성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국제 금융불안이 유발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은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연준이 유동성을 일부 회수하는 동안 빈번하게 주가가 급락했다"면서 "코로나19 확산, 대응 과정에서 신흥국의 기초 경제여건과 재정상황이 악화함에 따라 향후 금융불안이 나타나면 대외건전성 악화 우려가 지금보다 커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3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양적완화 종료를 시사한 뒤 신흥국에서 나타났던 급격한 자본유출 현상 등 금융불안을 말한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내년 3월까지 신흥국 내 투기등급 회사채 디폴트 비율이 8.3%, 최대 13.7%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성장세가 미약했던 여러 신흥국이 코로나에 따른 경기침체에 추가적 타격을 받으면서 회사채 디폴트 비율이 급상승하고 있어서다.
또한 한은은 또 코로나19 진정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식량수급 악화에 따른 사회불안 가능성도 지적했다. 미국과 유럽, 인도 등에서 외국인 노동자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으며 비료 등 농업자재 공급차질도 예상된다는 것이다. 만약 식량수급의 글로벌 공급망 중 한 부분에서라도 물류이동에 차질이 발생한다면 세계 식량수급망을 교란시킬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올 하반기 중에는 식량 수확량과 식품 공급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식량부족 등 공급불안은 신흥국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경기회복 과정에서 수요가 빠르게 반등하는 재화와 서비스 공급이 지연될 경우 수급불균형에 따른 물가불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한은은 코로나19 진정 이후 신흥국에 현실화될 수 있는 리스크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신흥국 통화가치가 하락했다는 점도 향후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요인이 된다. 원·달러 환율이 크게 오를 경우 수입물가가 올라 국내물가로 전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