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 대폭발, 남의 일 아냐" 울산석유화학공단 불안 커졌다
2020.08.23 16:57
수정 : 2020.08.23 18:10기사원문
울산에 질산암모늄 얼마나 있나?
23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석유화학단지는 전국화학단지 면적의 53%, 저장 액체위험물의 42%, 특히 고위험 화학물질의 연간 유통량 27%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위험물제조소 등의 설치를 허가 받은 업체는 8126곳에 이르며 특히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를 받은 곳은 723곳이나 된다.
여기에다 동북아 에너지허브로 조성되고 있는 울산항은 원유와 가스, 각종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입 등으로 울산항은 국내 액체화물 물동량의 30%를 처리하고 있다.
특히 이번 베이루트 대폭발의 원인으로 지목된 질산암모늄의 경우 울산지역 내 취급업체가 18곳에 이르고 있지만 실태 파악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우려를 키우고 있다. 기껏 공개된 정보는 업체 9곳과 5만t가량 뿐 이 외에는 실제 얼마나 많은 양이 저장돼 있고 어떤 곳에 사용되는지 울산시조차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다. 관련 정보가 기업의 영업비밀로 비공개 분류된 데다 국민총리실 대테러센터의 비공개 요구 때문이다. 이번 베이루트 폭발 당시 현장에는 약 2750t의 질산암모늄이 보관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시의회 행자위 소속 백운찬 의원은 "화학물질관리법 시행 후 5년이 지났지만 규제해야 할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베이루트 사고를 남의 집 불구경만으로 넘길 수는 없는 실정이다"라고 밝혔다.
이유있는 '화약고' 취급
이 같은 상황은 공단 내 폭발, 화재사고와 유독물질의 누출사고와도 연결된다. 최근 3년간(2017~201) 해마다 30여 건씩 97건의 화재,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유해물질 관련 사고는 최근 5년간 272건(2019 울산시정백서)이나 발생했으며 누출로 이어진 사건도 104건이나 된다. 질산암모늄과 관련해서도 지난 2013년 공단 내 비료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바 있다.
자칫 대형 연쇄폭발을 일으킬 위험도 안고 있다. 설치된 지 40년이 넘은 공단 내 노후 지하배관 때문이다. 화학관, 가스관, 송유관, 전력관 등을 포함해 길이만 1만2858km인 이 노후 배관은 울산 국가산단 2곳을 거미줄보다 복잡하게 연결하고 있다.
울산시는 이같은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컨트롤 타워인 울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와 특수화학구조대를 조직했다. 노후 배관 안전관리를 위해 2018년부터 안전진단 중이며, 사고 시 주민소산계획 수립, 지상 배관망 구축, 등에도 나서고 있다. 하지만 안전망은 여전히 허술하고 한계도 드러나고 있다.
단적인 예로, 지난 20일 울산 온산공단에서 발생한 화재의 경우 유독물질의 폭발 가능성으로 인해 관할 소방서의 모든 인력이 출동하는 대응 1단계를 발령했지만 주민들에게 통보된 안전 메시지는 진화 완료 후 발송됐다.
이에따라 베이루트 사고를 반면교사 삼아 고위험 우려 물질의 처리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하고, 국가가 직접 고독성고위험물질관리센터를 울산에 건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