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신뢰하지 않는 일본인 79%, 아베는?

      2020.09.10 15:50   수정 : 2020.09.10 16:32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신뢰한다는 일본 시민은 2.4%에 머물렀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79.2%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우리나라 시민 중 아베 총리는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0.9%에 불과했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93.7%에 달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이 10일 한국 시민과 일본 시민 모두를 대상으로 양국의 갈등 현황, 관계 전망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비교·분석해 내놓은 Media Issue 6권 4호 '한·일 갈등에 대한 양국 시민 인식 조사'에서 이같은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일 관계 악화 책임’ 일본인 39.8%, 한국인 75.1%


현재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한 국가별 책임 여부에 대해 '상대 국가의 책임이 더 크다'고 응답한 비율은 일본 시민이 36.7%, 우리나라 시민이 16.0%였고, '자국 책임이 더 크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이 23.6%, 우리나라 시민은 8.9%였다. 양국에 '서로 반반의 책임이 있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이 39.8%, 우리나라 시민이 75.1%였다.


악화된 한·일 관계의 책임이 상대 국가의 어떤 전문가에게 있느냐를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 시민은 일본 시민보다 상대국 전문가의 책임이 훨씬 더 있다고 인식했다. 현재 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이 '상대국 정치인'에게 있다는 응답 비율은 일본 시민 53.8%, 우리나라 시민 84.9%였고, '상대국 고위공직자'에 대해서는 일본 시민 51.2%, 우리나라 시민 82.8%였다.

이들 '상대국 정치인'과 '상대국 고위공직자'는 우리나라 시민과 일본시민이 공통으로 꼽은 현재 악화된 한일 관계에서 가장 책임이 있는 전문가 집단이다. '상대국 언론인'에게 있다는 응답 비율도 높은 수준이었다. 일본 시민 43.1%, 우리나라 시민 78.4%가 악화된 한·일 관계에 책임 있는 전문가로 '상대국 언론인'을 선택했다. 다른 전문가 집단과 비교해 보면 '상대국 언론인'에 대해 우리나라 시민과 일본 시민이 응답한 비율의 차이가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대국 교육자(교사, 교수)'에 대해 일본 시민 46.0%, 우리나라 시민 68.6%가, '상대국 법조인(변호사, 판사, 검사)'에 대해서는 일본 시민 47.0%, 우리나라 시민 58.2%가 악화된 한·일 관계에 책임이 있다고 응답했다.

'상대국 경제인·기업인' 응답은 일본 시민 35.4%, 우리나라 시민 56.9%였고, '상대국 시민단체 활동가' 응답은 일본 시민 44.6%, 우리나라 시민 53.0%였다. '상대국 예술인'에게 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이 있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이 22.6%, 우리나라 시민이 32.1%였다.



‘상대국 제품 구입 감소’ 한국인 80.0%, 일본인 31.1%

우리나라 시민 중 국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본 제품(전자기기, 의류, 화장품 등) 및 일본 콘텐츠(영화, 드라마, 음악 등)에 대한 불매 운동을 알고 있는 비율은 96.5%에 달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일본 제품 구입이 줄었다는 응답은 80.0%였고, 일본 콘텐츠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69.4%였다.

반면 한국 제품 및 콘텐츠에 대한 별다른 불매 운동이 없었던 일본에서는 일본 시민 중 31.1%는 최근 1년 동안 한국 제품(전자기기, 의류, 화장품 등) 구입이 줄었다고 응답했고, 한국 콘텐츠(영화, 드라마, 음악 등) 이용이 줄었다는 응답은 27.8%였다. 일본 시민보다 우리나라 시민의 상대 국가 제품 구입 및 콘텐츠 이용이 훨씬 많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국민 90% 이상이 영토 문제와 역사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독도 등 영토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비율은 일본 시민 76.8%, 우리나라 시민 91.8%였고, 해결됐다는 일본 시민 4.7%, 우리나라 시민 2.7%에 불과했다. '위안부 등 역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 비율은 일본 시민 55.5%, 우리나라 시민 91.0%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해결됐다는 비율은 일본 시민이 20.6%였지만, 우리나라 시민은 3.0%에 그쳤다.

한·일 양국 시민 모두는 상대 국가와 국민에 대한 호감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일본 시민 중 우리나라에 대해 호감을 가지고 있다는 응답한 비율은 10.8%에 불과했고,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56.7%였다. 우리나라 시민 중 일본에 호감을 갖고 있는 비율은 일본 시민보다 높은 15.0%였고,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 역시 일본 시민보다 높은 64.2%였다. 상대 국민에 대한 호감 여부에 대해서는 일본 시민 중 11.1%만이 우리나라 국민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고, 51.4%는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한·일 양국 개선 방향 등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도 한·일 양국 시민은 차이가 있었다. '양국 협력·동맹은 반드시 필요하다'에 대해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일본 시민이 31.1%, 우리나라 시민은 47.5%였다. '양국 관계 개산을 위해 반드시 노력해야 한다'에 대해선 일본 시민 34.0%, 우리나라 시민 57.0%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자국이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 24.5%, 우리나라 시민 26.1%로 거의 비슷했으며,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상대국이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 줘야 한다'는 일본 시민 44.1%, 우리나라 시민 72.6%였다. '과거사와는 별개로 양국 협력·동맹을 강화해야 한다'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이 35.8%, 우리나라 시민이 31.6%였다.



한국인, 일본인보다 양국 관계 장기 전망 낙관적

이같은 조사결과와 달리 양국 관계 장기 전망은 상대적으로 낙관적이었다.

10년 뒤 한·일 양국 관계가 어떨 것으로 전망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정치, 경제, 문화 영역 모두에서 우리나라 시민이 일본 시민보다 상대적으로 더 낙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뒤 양국 '정치 관계'에 대한 전망에서 좋아질 것이라고 한 응답 비율은 일본 시민 10.8%, 우리나라 시민 22.6%였고, '경제 관계'에 대한 전망에서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일본 시민 8.8%, 우리나라 시민 28.8%였다. 양국 '문화 관계'에 대한 전망은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일본 시민 13.7%, 우리나라 시민 34.6%였다.

한편,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상대국에 대한 한국과 일본 시민의 전반적인 인식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양국 20세 이상 69세 이하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우리나리 조사는 설문조사 전문업체 (주)엠브레인퍼블릭이 대행했으며, 확보하고 있는 패널에서 성, 연령, 거주지역을 기준으로 할당해 모집했다. 최종 분석에 투입된 우리나라 응답자 1,000명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51.1%, 여성 48.9%, 연령대는 20대 18.3%, 30대 18.7%, 40대 22.2%, 50대 23.4%, 60대 17.4%였다.

일본 조사 참여자는 현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대행한 (주)Syno Japan이 보유하고 있는 패널에서 성, 연령, 거주지역을 기준으로 할당해 모집했다. 최종 분석에 투입된 응답자 742명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성 50.7%, 여성 49.3%, 연령대는 20대 13.6%, 30대 23.9%, 40대 24.7%, 50대 24.3%, 60대 13.6%였다. 실사는 2020년 8월 26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됐다.
최종 응답률은 6.7%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7%포인트다.

courage@fnnews.com 전용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