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으로 충전지 만든다
2020.10.26 13:53
수정 : 2020.10.26 13:53기사원문
한국화학연구원은 화학소재연구본부 최영민·김태호 박사팀과 경희대학교 정선호 교수팀이 전극이중층 슈퍼커패시터에 들어가는 집전체 소재를 3D 프린팅용으로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전극이중층 슈퍼커패시터는 충방전 시간이 짧아 리튬이온전지의 보조 전지 격으로 일부 자동차 및 스마트폰, 카메라 등에 쓰이고 있다. 연구진이 개발한 집전체는 전자를 뽑아내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소재로 이차전지의 핵심 부품이다.
최영민 박사는 "슈퍼커패시터를 넘어 고전압, 고전도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이차전지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인쇄용 금속 소재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나노미터(nm)와 마이크로미터(μm) 사이즈의 니켈(Ni) 입자, 화장품 원료로 쓰이는 폴리비닐피로리돈 등을 혼합해 3D 프린팅용 금속 잉크를 만들었다. 이 잉크는 전기전도성과 고전압 안정성 모두 높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잉크 소재는 프린팅된 후, 극히 짧은 순간(1000분의 1초) 빛을 쬐어주면 잉크 속 니켈(Ni)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며 전기전도성이 극대화된다. 이와 동시에, 니켈 입자가 다른 입자로부터 전자를 받는 환원반응이 일어나 표면에 전도성 보호층이 생긴다. 이 보호층 덕분에 전극이중층 슈퍼커패시터 전지의 최고전압(3V) 조건에서도 안정성을 오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소재가 적용된 마이크로 슈퍼커패시터 소자는 기존 증착 공정이나 리소그래피 공정의 소자 특성과 에너지밀도를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이다. 에너지밀도가 높으면 전지를 한번 충전했을 때 쓸 수 있는 지속 기간이 길다.
이 소재는 주 재료로 니켈 입자를 활용해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잉크에 들어가는 입자들의 배율을 다르게 해 잉크의 점성을 적절히 조절, 어떤 모양의 전지도 정교하게 프린팅해 만들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경희대 정선호 교수는 "이번 연구의 가치는 인쇄 공정을 이용한 맞춤형 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공백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의 6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