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장바구니’ 담아둔 한국 “3단계 아닌 백신이 답”
2020.12.15 14:06
수정 : 2020.12.15 15:32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무엇보다 속도가 중요합니다. 백신과 치료제가 사용되기 전까지 마지막 고비입니다. 그때까지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이 가장 강한 백신과 치료제입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첫 1000명대 확진자가 나온 지난 13일 문 대통령은 이 같이 강조했지만 “백신 없이는 백약이 무효하다”는 목소리다 나온다. 거리두기 단계 상·하향에 시민들의 피로감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사실상 봉쇄에 해당하는 3단계 조치가 시행되면 경제 타격이 엄청날 것으로 예상돼서다. 국민 건강과 국가 경제 회복을 위해 정부가 백신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 "K방역 내세우다 정작 백신 확보 뒤처져"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백신 확보 속도 및 접종 시기를 코로나19 타개의 중요 요소로 짚었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14일 파이낸셜뉴스와 통화에서 “백신 접종과 집단면역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이밍’”이라며 “우리 정부는 K방역을 내세우다 ‘토끼와 거북이’ 사례처럼 정작 최종 승부처인 백신 확보에는 뒤처졌다”고 지적했다.
지난 8일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4400만명분을 내년 2~3월 단계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와 1000만명분 선구매 계약을 맺었고, 화이자·모더나·코백스 퍼실리티에서 각 1000만명분, 존슨앤존슨-얀센에서 400만명분의 백신을 조달하겠다는 방침이다. 14일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에 따르면 현재 제약회사들과 협의를 진행 중이지만 4400만명분 외에 추가 물량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문제는 백신을 확보한다고 해도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등을 거쳐 실제 접종까지 얼마나 걸릴지는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김 교수는 "내년 상반기에 접종을 마치고 여름까지는 집단면역을 형성, 9월부터는 일상 정상화가 이뤄지면 좋은데 지금 상황을 보면 내년 하반기에 접종을 시작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타국에 비해 늦은 ‘늑장 대응’도 논란이다. 실제 우리나라의 백신 확보 현황은 영국, 미국 등 영미권 국가와 이웃나라 일본에 비해 늦다. 영국은 지난 8일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14일부터는 전국 100여 곳에 백신 공급이 이뤄진다. 게다가 내년 4월쯤이면 일상도 정상화될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보이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일본도 백신 접종→집단면역 형성→일상 정상화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백신 접종을 서두르고 있다. 미국은 식품의약품국(FDA)의 긴급사용 승인을 받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을 14일 뉴욕의 한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처음으로 접종했다. 현재 미국 전역에 화이자 백신 최초 공급물량이 배송돼 전국에서 접종이 예정돼있다. 미국은 10억1000만 도스의 백신을 확보, 내년 1분기까지 ‘1억명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캐나다도 미국과 함께 접종을 시작했다. 내년 9월까지 3800만 시민 대부분의 접종을 예상한다. 일본은 2억9000만회분 백신 구매를 완료했으며 연내 접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정부 또한 14일 화이자 백신에 대한 승인을 마쳤고 연말 내 접종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멕시코, 쿠웨이트 등에서 화이자 백신 사용을 승인했다.
■ “완벽한 백신은 없다, 확보 서둘러야”
거리두기 조치에 희생을 감수한 시민들, 특히 생계에 위협을 느끼는 자영업자의 상황을 고려하면 백신 접종을 통한 일상 복귀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국민 건강뿐 아니라 국가 경제 회복을 위해서다.
유승민 전 의원은 "백신확보 실패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치명적일 뿐 아니라, 우리 경제에도 치명적"이라며 "2021년 글로벌 경제는 '백신 디바이드(divide)'에 좌우될 것이다. 코로나 백신을 충분히 확보한 나라는 경제회복 열차를 탈 것이고, 백신 조기확보에 실패한 우리는 코로나역에 남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2조원으로 화이자 백신 5000만명 분을 선구매했더라면 최소한 수십조 원의 GDP와 수십만 개의 일자리를 기회비용으로 날리는 불상사는 막을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의료계도 일각에서 제기하는 백신 안정성에 따른 '부작용 리스크'보다 '집단면역 형성을 통한 순기능'이 크다고 보고 있다. 김우주 교수는 “‘100% 안전한 백신’은 없다. 미국 CDC와 FDA 등 각국 보건당국이 검증을 거쳐 긴급사용을 승인한 코로나 백신에 두통이나 피로함 이상의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지금이라도 대외 협상력과 외교력을 동원해 백신 확보에 서둘러야 할 때”라고 제언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김태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