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기업이 할 일, 정부가 할 일

      2020.12.30 18:00   수정 : 2020.12.30 18:00기사원문
올해 초 코로나19가 발발한 뒤로 1년이 지나고 있다. 그러나 모두의 바람과 달리 국내외 코로나19 상황은 최근 들어 더욱 심각해지고 장기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에 의하면 지난 26일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8000만명을 넘어섰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도 2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확진자 수가 1000만명씩 늘어나는 데 경과되는 시일이 점점 짧아지면서 최초 1000만명까지는 6개월이 소요됐으나 7000만명에서 8000만명까지 단 보름이 걸렸을 뿐이다.


국내에서도 2월의 1차와 8월의 2차 확산에 이어 현재 코로나19 3차 확산이 진행 중이다. 3차 확산은 감염의 확진자 수, 지속 기간, 확산 지역에 있어 1차나 2차에 비해 훨씬 중차대해 보인다. 게다가 앞으로 얼마나 계속될지 가늠하기 어려워 감염병이 발발한 이래 불확실성이 가장 높은 상태다. 3차 확산이 순식간에 벌어지면서 방역 활동이나 사회적 거리두기만으로는 코로나19 대응에 한계가 있음이 분명해졌다. 따라서 대다수 국민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조금도 방심할 수 없게 됐다.

참고로 현재까지 우리나라 확진자 수 5만7680명과 사망자 수 819명은 전 세계 171개국 중 각각 87번째, 100만명당 사망자 수는 1.6명으로 135번째, 사망률은 1.4%로 117번째에 해당한다. 전 세계 평균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나은 수치이긴 하나 코로나19로 인해 우리나라 경제사회가 받은 충격이 절대로 가벼운 것은 아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코로나19의 충격이 경제산업에 끼친 악영향을 단기간 내에 복구하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국내총생산의 변동을 보면 향후 예기치 못한 사태로 경기가 다시 급락하지 않는 이상 올해 2·4분기가 저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한국은행 경제전망에 따르면 내년 3·4분기가 지나야 비로소 코로나19 이전의 실질 총생산 수준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 전망치에 코로나19 3차 확산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면 회복 시점은 더 늦어질 수도 있다.

산업정책 관점에서 크게 우려되는 부분은 코로나19 이후에 대한 기업의 중장기 대비가 전반적으로 매우 미흡하다는 점이다. 최근 산업연구원에서 실시한 국내 제조기업 1000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약 70%의 기업이 전년 대비 매출 감소를 겪었다. 그러나 엄청난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절반 이상의 기업이 과거의 운영방식을 유지했고, 85%의 기업은 새로운 판매전략을 마련하지 못했다. 약 84%가 충격의 장기화를 예상하면서도 79%의 기업은 미래를 위한 대응전략을 세우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미래 대응의 핵심 기회요인인 디지털 전환에 있어 오직 18%의 기업만이 계획 중이라고 답변했다.


기업이 국내외 수요·공급과 규제 등에 기인한 불확실성을 코로나19 이후 미래 대비의 주된 어려움으로 꼽고 있어 정책 대응 측면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업이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우리나라 산업이 코로나19 이전보다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전략적인 투자와 혁신 노력이 필수적이다.
정부는 기업이 직면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정책 기조를 강화하고 그에 부합하는 정책을 실행해야 기업과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김인철 산업연구원 산업정책연구본부장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