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불확실성의 시대… 과학기술 혁신에서 해법을 찾다
2021.04.19 17:23
수정 : 2021.04.19 17:23기사원문
올해 우리나라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이 27조원을 넘어섰고 국가 R&D 투자규모가 1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에 엄청난 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다. 우리나라는 록다운 없이 코로나 확산세를 막아낸 방역 모델로 모범을 보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들은 불확실성을 없애고 우리 공동체와 사회를 안전하게 하기 위해 냉철한 과학 기술의 혁신에서 그 해법을 찾고 있다. 그 결과 25개 출연연구기관에서는 지난해에만 472건에 달하는 연구성과를 내놨다.
먼저 코로나19가 화두였던 만큼 의학, 과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출연연구기관에서는 코로나 진단기술,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그 외 팬데믹 극복을 위한 24건의 연구 성과를 거뒀다.
또한 국민건강을 지키기 위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R&D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과 기초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됐다. 그 결과 지난해에는 135건의 국민생활건강과 관련된 연구성과를 거뒀다. 이는 2019년 112건보다 23건이 늘어난 결과물을 선보였다.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연구성과도 상당하다. 지난 2019년 일본 정부가 한국을 상대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에 대한 전방위 수출 규제를 단행했다. 혼란과 우려가 가중됐지만, 되레 이 사건은 소부장 국산화에 더욱 힘을 쏟는 계기가 됐다. 2019년 101건에 이어 지난해에는 117건에 달하는 결과물이 쏟아졌다. 출연연구기관은 기술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소부장 과학기술에 관한 장기적이고 독자적인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까지 대한민국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출연연구기관에서는 지난해 103건에 달하는 친환경에너지 연구성과를 내놨다. 이는 2019년 63건보다 40건이나 늘어난 수치다.
뿐만 아니라 기술표준 분야에서도 국제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기술을 표준화하고 이를 보급·적용하는 일은 공동체 이익을 최적화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기술종속국이 아닌 기술종주국이 되려면 시장을 장악할 무기가 필요하다. 지난 2년간 총 16건의 연구성과를 내놓으면서 국제 표준으로 채택하기 위한 연구에 힘쓰고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