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소비 폭발… "최악땐 증시·부동산 등 자산가격 급락"
2021.05.04 18:34
수정 : 2021.05.04 19:15기사원문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를 넘어서는 등 곳곳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음이 들린다.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탓에 생산과 소비활동을 하지 않던 이들이 보복소비에 나서면서 위기 극복을 위해 풀었던 돈이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끌어올릴 것이란 분석이다. 정부는 물가상승은 일시적인 것이라면서도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4일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 대비 2.3%를 기록한 것에 대해 "4월 물가상승률이 지표상으로 2%를 상회한 데는 비교시점인 지난해 4월의 물가가 크게 낮았던 기저효과 요인이 크게 작용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2·4분기 일시적 물가상승이 과도한 인플레이션 기대로 확산되지 않도록 물가안정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이 밝힌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3%는 3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물가는 지난해 5월 -0.3%를 기록하는 등 1년 전만 해도 디플레이션을 걱정할 만큼 낮았다. 하지만 올 들어 3월부터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고공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회복 과정에서 인플레이션이 '복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리 경제는 올해 1·4분기 예상치보다 높은 1.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수출이 크게 증가했지만, 내수도 살아나고 있다. 정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내수부진이 완화됐다"는 표현을 썼다. 6개월 만이다. 코로나19가 잦아들면서 소비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3월 백화점 매출액은 전년 대비 62.7% 급증하면서 2005년 모니터링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전체 소비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카드 국내승인액도 20.3% 급증했다. 문제는 코로나19 위기 극복 과정에서 풀린 돈이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올리면서 재화시장이 과열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보복소비가 지속돼 4월처럼 물가안정 목표(2%)를 웃돌기 시작하면 중앙은행도 금리를 인상하고 양적완화를 축소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빠르게 흡수했던 자산시장이 급격하게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4차례 추경으로 총 66조8000억원을 마련한 데 이어 올해도 14조9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 총 81조7000억원가량을 지원했다. 이 가운데 적지 않은 돈이 주식과 부동산, 가상자산 등으로 흘러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코스피는 올해 1·4분기 3000을 넘어섰고, 지난해 9월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선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7개월 만에 11억원을 넘겼다. 비트코인 가격은 10배 이상 뛰었다.
안재욱 경희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만약 인플레이션율이 예상치 않게 급등하면 최악의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금리가 폭등할 것이고 주식, 코인,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급락할 것"이라며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와 마찬가지로 자산가격 거품이 꺼지면서 경제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