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묵은 '대구 취수원 이전'… 구미 민심은 찬반 갈등
2021.08.01 15:00
수정 : 2021.08.01 18:26기사원문
하지만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방안을 두고 구미지역 내에서 여론이 찬반으로 갈라지면서 갈등이 여전한 것은 문제로 지적된다.
찬성쪽은 "상수원보호구역 지역 등 재산권 규제가 전혀 확대되지 않는다고 정부가 보증했다"면서 "반대를 위한 반대를 그만하고, 취수원 공동 이용을 수용, 낙후된 해평지역을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반대하는 의견이 있음에도 불구, 추진된 취수원 공동이용은 충분한 논의 없이 결정된 전형적인 졸속 행정"이라고 반발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정부는 다양한 구미지역 지원방안을 마련, 공감대 확산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해야
환경부는 지난 6월 낙동강유역위원회 의결에 따라 '안전한 먹는 물을 위한 수질개선과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을 발표했다.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에 따르면 해평취수장에서 30만톤을, 문산·매곡정수장에 초고도정수시설을 도입해 28만8000톤을 취수해 총 57만톤의 생활용수를 공급한다.
또 경북에 1만8000톤을 배분,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해 경북 운문댐 물을 울산시에 공급한다.
특히 대구시와 정부는 다양한 구미지역 지원방안을 마련, 공감대 확산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대구시는 제2회 추경을 통해 자체예산으로 구미시에 상생협력을 위한 일시금 100억원을 일반회계(자치단체간 부담금)로 편성했다. 또 하류지역인 부산시에도 100억원(합천 50억·창녕 50억)을 지원하는 한편 농·축산물 우선구매 계약 등을 통해 영향지역 농가소득 증대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정부도 낙동강수계기금을 통해 통수 공사 착공 시부터 매년 100억원을 구미시에 지원키로 했다. 도 해평습지 생태축 복원사업 등 환경부 관련 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환경부 업무범위 외 사업은 중앙정부 및 관계 지방자치단체에서 논의키로 했다.
이와 별도로 하류지역에도 매년 140억원(합천 70억·창녕 70억)을 지원할 방침이다.
■공동 이용 불가 vs 낙후 해평 살려야
환경부의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이 발표되면서 구미지역 사회는 찬반 양론이 극명하게 갈렸다.
해평면 주민들로 구성된 찬성 측은 "해평 살리는 취수원 공동 이용 수용하라"고 주장하고, 취수원 이전 반대 측은 "주민 의견 무시한 환경부 결정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같은 의견 충돌은 지난 7월 14일 구미코(구미컨벤션센터)에서 환경부 주관으로 열린 '낙동통합물관리방안 구미지역 합동 설명회'에서 고스란히 표출됐다.
김기완 해평취수원 상생 주민협의회 위원장은 "해평취수장이 들어선 후 각종 규제로 발전이 안돼 한때 1만3000여명에 달하던 인구는 현재 4200여명으로 급감하는 등 낙후지역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주변 지역이 천지개벽으로 변하는 40년 동안 낙후되고 있는 해평면 주민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을 반대해서는 안된다"며 "반대를 위한 반대를 그만하고 취수장 공동 이용을 수용, 낙후된 해평지역을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윤종호 구미시의회 취수원이전특위 위원장은 "낙동강 수계 주민들이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대구시 입장이 편중되게 반영됐다"며 "취수원 다변화 방안은 근본적 수질개선 대책이 될 수 없고, 구미시민들의 의견이 반영된 후 추진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