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업계·정부 손잡고 '탄소포집 저장소 확보' 시동
2021.10.17 18:24
수정 : 2021.10.17 18:24기사원문
정유, 석유화학 기업들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탄소포집(Carbon capture) 기술 확보에 나서면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저장 가능한 장소를 찾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지만, 국내 저장용량이 충분치 않은 것으로 파악돼 해외 저장소 발굴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석유공사와 함께 동해가스전을 활용해 이산화탄소 저장하는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곧 천연가스 생산이 종료돼 비어있게 될 가스전에 2025년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한다.
탄소포집은 정유사, 석유화학, 시멘트, 철강기업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잡아두는 기술이다. 이들 업체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탄소중립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저장 하거나 드라이아이스, 건자재 제조 등으로 활용한다. 문제는 활용 비율이 매우 낮다는 점이다. 포집 기술이 상용된 뒤 이산화탄소가 대량으로 발생하면 활용에 모두 쓰일 수 없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50년까지 포집될 이산화탄소 60억t 중 7%만 활용에 쓰일 전망이다. 나머지 97%는 땅속에 저장해야 한다.
해외에선 이미 관련시설 26개가 운영되고 있다. 이들 시설에선 매년 4000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지하에 영구저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누적 저장량은 총 3억t에 달한다. 폐유전이나 가스전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것이어서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등 지리적으로 유전에 가깝고 석유 채굴 기술이 발달한 국가를 중심으로 2010년부터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반면 관련 기술이 부족한 국내에선 아직 초기에 머물러 있다. SK이노베이션이 동해 가스전에 2025년부터 30년간 12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계획이다. SK E&S도 개발 중인 호주 가스전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인근 폐가스전에 저장할 방침이다. 롯데케미칼과 현대오일뱅크 등 일부 기업들은 탄소포집 계획을 밝혔지만 '활용' 계획만 세워둔 상태다. 경제성이 확보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의중으로 풀이된다.
정부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을 중심으로 저장 후보지 선정에 나섰다. 한반도 및 주변 해역 CO₂ 저장 용량은 약 3억t에서 6억t 규모로 평가된다. 공주대 권이균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지속적인 탐사 사업과 기술 개발을 통한 저장용량 확대로 온실가스 감축 규모를 좀 더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탄소중립 실현에 부족한 감축량은 국외 CCUS 사업을 통해 보완적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