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북극항로

      2021.12.29 18:00   수정 : 2021.12.29 18:26기사원문
북극권은 천연자원의 보고다. 이미 생산 중인 천연가스뿐 아니라 이리듐 등 희귀 광물의 매장량도 엄청나다. 이곳의 러시아 영토 경계선은 전체 북극해 해안선의 53%인 3만7653㎞에 이른다.

러시아가 5600㎞ 북극항로 개척에 올인 중인 배경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최근 러시아 국영 에너지회사 로사톰이 2030년까지 북극항로 일대에 해상부유형 원전 4기를 건설한다고 보도했다. 얼음을 부수며 운항하는 핵추진 쇄빙선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다. 러시아는 북극해 항구 페벡에서 세계 최초로 해상부유형 원전을 가동 중이다. 이를 더 증설해 5척인 핵추진 쇄빙선도 2035년까지 9척으로 늘린다는 포석이다.
2014년 우크라이나 침공, 크림반도 합병으로 서구권으로부터 장기 경제제재를 받으면서 북극 개발로 새 활로를 찾고 있는 셈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장기집권 체제를 굳혔다. 이제 북극항로 개척으로 제국의 부활을 노리는 형국이다. 지구온난화는 지구촌 전체로선 재앙이지만 러시아엔 호재다. 북극해의 얼음이 녹으면서 연중 화물선 운항 가능 일수가 늘어나서다. 미국 등 서방 측은 환경 파괴를 빌미로 러시아의 북극 개발에 제동을 걸고 있으나 글로벌 원자재난은 러시아에 유리한 변수다. 유럽 및 북아프리카행 한·중·일 상선은 수에즈운하를 거쳐 2만2000㎞를 운항한다. 하지만 북극항로라면 1만4000㎞로 단축된다.


다만 물류비용 절감이 한국이 북극항로 개척에 동참해야 한다는 논거의 전부는 아니다.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기에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을 놓고 미·중이 격돌하는 상황에서 출구를 얻는 격이 아닌가. 더욱이 "북극해 유전에 투입할 쇄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 기술은 한국밖에 없다"(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고 한다.
연해주 등 '극동지역의 중국화'를 경계하는 러시아도 북방 4개 섬을 놓고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일본보다 한국의 참여를 반기고 있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