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약점 노출한 ‘계열사 각자도생’… 컨트롤타워 정비 시급

      2022.01.10 18:10   수정 : 2022.01.10 18:10기사원문
카카오 컨트롤타워 역할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카카오 공동대표로서 류영준 차기 최고경영자(CEO) 내정자가 자진사퇴하는 초유 사태가 발생하면서다.

지난 2010년 3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출시 후, 시가총액(시총) 43조 규모로 성장한 카카오가 콘텐츠, 모빌리티, 테크핀 등 관련 계열사만 117개에 달하는 카카오공동체로 확대하는 과정에서 각종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지난 10년간 자율과 책임 등 독립된 리더십으로 계열사 각자도생이 이뤄졌다면, 이제는 경영 리스크 관리와 사회적 책무를 조율하기 위한 카카오 공동체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카카오 공동체 리스크 대응 시급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현재 김범수 창업자가 의장인 이사회를 비롯해 △카카오공동체컨센서스센터(송지호 센터장)와 △미래이니셔티브센터(김범수, 남궁훈 센터장)가 있다.


카카오공동체컨센서스센터는 각 자회사 및 계열사 간 시너지를 조율하고 있다. 또 카카오미래이니셔티브센터는 카카오 공동체 '미래 10년'을 준비하는 조직이다. 하지만 이사회는 물론 두 조직 모두 기술과 서비스 등 비즈니스모델(BM) 혁신성장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지난해 국정감사 전후로 불거진 카카오모빌리티 '스마트호출 수수료 인상'과 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엔터) '웹툰 저작권 이슈'를 비롯해 카카오페이 임직원 '대규모 블록딜(시간외대량매매)' 등 계열사 리스크 대응은 발 빠르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동체 의사결정구조 개선 병행

하지만 카카오 차기 CEO 불명예 퇴진이 일어나면서 컨트롤타워 등 리더십 재정비 논의가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엔터 등 주요 공동체 위기관리 및 의사결정구조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카카오 계열사 중 절반 이상은 투자 및 인수를 통해 기업집단에 합류한 스타트업 이라는 점에서 이들까지 모두 아우르는 경영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카카오 노조가 "카카오 계열사를 관리하는 컨트롤타워가 본사에 있지만 작동하지 않았다"면서 "지난 한 달간을 뒤돌아보면 위기 대응에 실패했다"고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민수 단독대표 가능성도 제기

카카오 공동대표 유지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앞서 카카오는 류 내정자와 함께 현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를 차기 CEO로 내정한 상태다. 즉 여민수 카카오 단독대표 체제로 갈지, 또 다른 인물을 물색해 공동대표 체제를 이어갈지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업계 일각에서는 오는 3월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앞두고 시간에 떠밀려 또 다른 차기 CEO를 선임해 공동대표 체제를 유지할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즉, 여민수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하면서 각 컨트롤타워 역할 재정립은 물론 카카오 노조가 요구하는 △상장 시 일정 기간 임원진의 지분 매도 제한 규정 신설 △선량한 관리자 주의 의무 강화를 위한 내부 점검 절차 강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여민수 대표는 이날 전사 공지를 통해 카카오 경영진 스톡옵션 매도 관련 가이드라인을 정비하겠다고 밝히며 사태 수습에 적극 나섰다. 여 대표는 "실망을 드려 죄송하다.
이번 일을 계기로 가이드라인 정비 등 재발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김준혁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