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조회' 난상토론 벌인 공수처
2022.01.11 18:21
수정 : 2022.01.11 21:09기사원문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부터 열린 공수처 검사회의에는 정원 25명 중 코로나19로 자가격리 중인 검사를 제외한 전원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공수처의 통신 조회 논란이 주요 안건으로 오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기자, 정치인, 시민 등 최근 약 300여명 이상의 통신 조회 사실이 알려지며 사찰 논란을 빚었다. 김 처장은 지난해 12월 3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사찰이 아니다"며 "검찰에서 통신자료 조회한 게 59만7000건, 경찰이 187만7000건이고 저희가 135건이라며 통신사찰 지적은 과하다"고 일축한 바 있다.
김 처장의 발언은 '수사 과정에서 검찰과 경찰의 통신 조회는 업무상 불가피한 측면이 있음'을 강조한 것이나, 현 정권에 비판적인 인사 위주로 그 규모가 급격히 늘면서 공수처가 수세에 몰렸다.
공수처 통신조회는 언론인 160여명, 정치인 90여명을 포함해 현재까지 약 300여명 이상으로 늘었다. 여기에 공수처가 인권 수사 절차를 확립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로 위촉한 수사심의위원을 포함해 비판적 성향의 인사위원, 자문위원 등 내부 인사까지 통신 조회를 한 것으로 알려져 정치 사찰 논란을 피하기 힘든 상황이 됐다. 공수처는 수사심의위원인 이창현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공수처 인사위원 중 야당 추천으로 들어온 김영종 전 수원지검 안양지청장도 조회했다. 또 다른 공수처 자문위원도 4차례나 통신 조회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 내부에서도 통신 조회 논란을 두고 이견이 갈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검사들은 수사에 필요한 적법한 절차였다고 판단하는 반면 또 다른 측은 외부 비판에 대해서도 쇄신이 필요한지 점검해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와 함께 공수처는 현재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연관된 '고발사주 사건'을 비롯해 주요 사건들에 대한 수사에서도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