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촉즉발 우크라이나 사태, 강 건너 불 아니다
2022.01.25 18:00
수정 : 2022.01.25 18:00기사원문
서방의 긴박한 대응은 러시아의 포위망이 좁혀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현재 우크라이나 국경에 배치된 러시아 병력은 12만명이 넘는다. 상륙함 6척은 지난주 지중해를 통과했다. 함대가 흑해에 들어올 경우 러시아는 수륙양용 상륙작전이 가능해진다. 벨라루스·우크라이나 국경엔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배치한 데 이어 최정예 공수부대를 파병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를 위협할 수 있는 위치다.
1991년 소비에트연방이 무너지면서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그 후로도 러시아 그늘을 벗어나지 못했다. 친러 정권에 반대하는 국민 저항운동은 두차례 시민혁명(2004년, 2014년)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적극적인 나토 가입 행보와 친서방 정책이 러시아 침공 위기를 불렀다. 우크라이나가 서방에 편입될 경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유라시아 재건 꿈은 그 기반을 상실하게 된다. 푸틴이 서방에 선전포고를 한 이유다.
일촉즉발 위기감 속에서 우리 정부는 향후 기업과 경제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 침공 시 군사적 대응과 별도로 강력한 경제제재를 예고했다. 여기에는 중국 통신기업 화웨이 때처럼 미국의 기술과 디자인으로 만든 반도체를 러시아로 수출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까지 포함될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되면 우리 기업의 스마트폰, 가전제품 수출이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러시아발 원자재 급등도 우려된다. 거래가 많은 러시아산 원유, 나프타, 유연탄 수입이 막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영국은 우크라이나 주재 대사관 직원 철수를 시작했다. 미국은 자국민에게 떠나라는 권고까지 내렸다. 최악을 가정한 조치다. 현지 우리 교민은 800여명이 체류 중이다. 다행히 접경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은 없다고 하지만 현지 교민의 안전에 우리 정부가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