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사각지대 커져 시기상조"
2022.02.08 18:18
수정 : 2022.02.08 18:37기사원문
방역당국이 고위험군 확진자에게 치료를 집중하고 일반관리군 확진자에 대해선 셀프방역 체제로 방역체계를 전환했다. 오미크론 관련 확진자가 연일 3만명 넘게 발생하면서 의료 치료체계를 선택과 집중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확진자 수가 줄지 않고 다음달 10만명, 향후 100만명까지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면서 방역체계를 두고 찬반 논란이 불붙고 있다.
고위험군을 집중관리하는 의료체계를 두고 전문가들의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일반 확진자에 대한 관리가 소홀해지면서 방역 사각지대가 커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신속항원검사로 비롯된 '위음성(가짜음성)' 확진자가 늘 수 있는 상황인 만큼 현재로선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나왔다.
6일 파이낸셜뉴스와 통화에서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확진자 규모가 너무 커져서 방역체계에 한계가 오니까 고위험자밖에 관리할 수 없는 상황이 만들어진 것"이라며 "일반 확진자는 동네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으라고 하지만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혼란이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제부터는 각자도생으로 환자가 알아서 검사하고 알아서 치료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너무 높고 치명률도 지금보다는 높아질 수 있어서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의 확진자 규모가 다라고 봐선 안된다"며 "위음성 판정을 받은 환자를 고려하면 앞으로 확산세가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확산세에 대해선 비관적인 전망이 잇따랐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되면서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해외 사례를 보면 오미크론 확산이 정점을 찍고 내려올 때까지 약 두달 정도가 소요되는데 우리나라는 조금 더 오래 걸릴 수 있다"면서 "다음주가 되면 신규 확진자가 10만명까지 증가할 수도 있다. 결국 마스크를 생활화하며 버티는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반발이 거센 탓에 '거리두기'도 더 이상 강화할 수 없고 방역체계는 이미 한계를 넘어섰다"며 "또 다른 변이가 나오지 않을 거라는 보장도 없다.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이 나와도 방심하지 않고 스스로 노력해야 할 때"라고 당부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