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다발 산불 대비 주력 진화헬기 초대형으로 전환 추진
2022.03.31 14:00
수정 : 2022.03.31 14:00기사원문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전국 동시다발 및 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주력 진화헬기를 대형에서 초대형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추진된다.
드론산불진화대 운영, 산불진화임도 및 물가두기 사방댐 확대와 함께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처우 개선 등이 이뤄진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31일 정부대전청사 1층 기자실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전국 동시다발 및 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맞춤형 대응전략 체계 마련에 나섰다고 밝혔다.
산림청에 따르면 경북·강원 등 대형산불 취약지역에서 산불발생 시 산불초기부터 ‘산불 2단계’를 발령(인접 시군 진화자원 30~50% 동원) 하는 등 고강도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주력 진화헬기는 대형에서 초대형으로 전환하는 한편, 지자체 임차헬기에 대해서도 내년부터 보조 예산을 확보해 중·대형급으로 대체한다. 초대형 헬기(담수량 5000L 이상)는 6대에 불과하다.
산세가 깊고 지형이 험해 인력 투입이 어려운 곳에 대한 진화 작업 수단은 헬기가 유일하다. 특히 초대형 진화헬기야 말로 대형 산불 진화의 핵심 전력이다. 조기 진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다.
현재 산림항공본부가 보유한 헬기는 총 47대다. 여기에 지자체 임차 헬기 70대까지 포함 총 117대를 운용 중이다.
산림청 헬기는 초대형 헬기(담수량 5000L 이상) 6대와 중대형 헬기(2700~5000L 미만) 30대, 소형 헬기(1000L 미만) 11대 등으로 이뤄졌다.
초대형헬기는 6대에 불과하다. 초대형헬기는 강원 원주에 2대를 비롯해 강원 강릉, 충북 진천, 전북 익산, 경북 안동 등에 배치돼 있다. 초대형헬기는 45초 내 8000L의 물을 담을 수 있고 한 차례에 최대 2시간 30분을 비행할 수 있다. 대당 도입 가격은 272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자치단체 임차 헬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부산 울산 1대, 대구 3, 경기 20, 강원 6, 충북 3, 충남 3, 전북 3, 전남 8, 경북 16, 경남 7대 등 총 70대다. 국비 지원없이 지방재정만으로 해결해야 만큼 2개 지역에 1대만 배치하는 등 열악한 상황이다.
이밖에 산불진화차의 경우 대형(2027년 2500대)과 고성능으로 교체하고, 헬기운항 및 진화인력 보강과 함께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처우도 대폭 개선하고 규모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야간산불 대응을 위해 드론산불진화대 운영(10개 팀 운영) 및 드론 개발·보급과 항공기의 확대 도입을 검토하고, 야간 산불진화가 가능하도록 운영체계(내비게이션 맵 등) 개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원전 등 국가기반시설과 주택 인접지 중심으로 산불예방 숲가꾸기(연간 8000ha→연간1만5000ha), 안전 공간 및 완충지대 조성, 내화수림대(연간 350ha) 집중 조성에 나선다.
산불진화차 진입을 위한 산불진화임도 확대(현행 157㎞ → 2030년까지 6357㎞), 대형산불 우려지에 담수기능을 갖춘 물가두기 사방댐 확대(2027년까지 63개소) 구축 등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산림청은 4월 산불 대비를 위해 경찰과 해경 헬기 3대에 밤비버킷을 신속히 지원하는 한편 강원 동해안에 대형급 헬기 13대 전진 배치한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산불 등 재난업무의 대응 성패는 지역주민, 유관기관 등의 긴밀한 협업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지난 60여년 간의 특화된 노하우와 ICT 등 과학기술을 접목해 철두철미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