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장 선거서 '해상풍력·메가시티' 중단여부 '촉각'
2022.04.12 05:05
수정 : 2022.04.12 05:05기사원문
(울산=뉴스1) 이윤기 기자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50일 앞두고 울산시장 선거에서는 민선 7기 핵심사업으로 추진중인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과 '부울경메가시티'에 대한 공방이 뜨겁다.
송철호 울산시장이 핵심사업으로 추진중인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과 '부울경메가시티'에 대해 시장 후보자들이 연일 반대 입장을 밝히며 공방이 격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 후보까지 가세해 해상풍력사업에 대한 속도조절론을 주장하고 나서 사업 추진 동력에 큰 타격을 입게 될 전망이다.
국민의힘 대다수 후보들은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에 대해 "120만 울산시민을 기만한 정책사기극"이라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부울경메가시티에 대해서도 "울산에는 매우 불리한 구상"이라며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자구도로 7명의 예비주자가 공천 경쟁에 돌입한 국민의힘 후보로는 김두겸 전 남구청장(64), 박맹우 전 의원(71), 박대동 전 의원(71), 정갑윤 전 국회부의장(72), 허언욱 울산시 행정부시장(58)과 현역인 서범수(59), 이채익 의원(66)으로 오는 13일 최종 3명의 후보를 선발하는 컷오프를 앞두고 있다.
이들 가운데 해상풍력에 대해 연일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는 이채익 의원은 송 시장이 2030년까지 울산 앞바다에 9GW급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힌 것을 두고 "실현 불가능한 일"이라며 "가능하더라도 외국기업이 전기요금 등 국민 혈세를 통해 20년간 최대 11조2000억원을 챙겨가는 국부유출이 일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산업부와 울산시는 지난 지방선거 이전부터 송철호 시장의 부유식 해상풍력 공약에 특혜 지원하는 방법으로 선거에 개입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120만 울산시민을 기만한 정책사기극"이라고 주장했다.
박맹우 예비후보는 "에너지 사업은 정부에서 추진해야 할 영역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투입해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특히 해상풍력 사업은 아직 검증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범수 의원은 "해상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가 물론 장기적으로 탄소중립 등 그쪽으로 가는 방향은 맞으나 송 시장처럼 급작스럽게 가면 안된다"며 "신재생에너지가 대체에너지가 아닌 교환 에너지로 차근차근 단계를 밟고 국내 생태계를 봐가면서 하나씩 해나가는 것이 맞다고 본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송 시장과 맞설 민주당 후보로 나선 장윤호 시의원은 "(두 사업에 대해)그 누구도 반대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각론에 들어가서는 세부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며 '속도조절론'에 힘을 실었다.
부울경메가시티에 대해서도 장 의원은 "울산시민들에게 편익 발생 여부에 대한 등가관계 성립 등 공론화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하며 "산업도시, 공업도시로 매몰된 울산의 산업 대전환 시기에 두 사업 모두 현재 울산의 실익 부분에서 우선 사항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김두겸 예비후보는 "송 시장이 시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듣지 않고 졸속으로 강행하는 부울경 특별연합 추진을 반대한다"며 "울산, 경주, 포항을 중심으로 한 신라권 지역의 발전과 상생, 협력방안을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울산 중심의 도시발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허언욱 예비후보는 "수도권식 부울경 메가시티를 확고히 반대한다"며 "부울경 메가시티는 그 지정학적 구조상 울산에는 매우 불리한 구상이라는 우려가 많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이채익 의원도 가세해 "현재 울산이 참여하고 있는 부울경 메가시티는 부산에 밀려 소외되고 있고 포항과 경주와 함께하는 해오름 동맹은 결성 5년이 되도록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자신의 첫 공약으로 동해남부권 슈퍼시티 기본계획을 내세웠다.
서범수 의원은 "수도권 집중에 맞서기 위해서는 메가시티 형태로 갈 수밖에는 없다. 다만 지금의 방식이 아니라 울산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고 울산이 중심이 되는 메가시티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부울경메가시티는 수도권·비수도권 관계 없이 전 지역이 상생해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수도권 일극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추진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