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주간위험도평가, 전국·수도권 '높음'..한단계 하향
2022.04.12 13:58
수정 : 2022.04.12 16:27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지난주 코로나19 주간위험도가 전국과 수도권 기준, 전주 대비 '매우높음'에서 '높음'으로 하향 조정됐다.
비수도권 지역은 병상가동률 등의 이유로 6주째 최고등급인 '매우높음' 단계를 유지했다.
12일 오전 이상원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정례브리핑에서 "4월 1째주(4월 3~9일, 지난주) 주간 위험도는 전국과 수도권이 '높음', 비수도권이 '매우높음'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코로나19 위험도를 1주 단위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주의 경우, 비수도권 지역의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최고등급인 '매우 높음'으로 평가했는데, 이 같은 평가결과를 지난달 1째주(2월27~3월5일) 이후 6주 연속으로 유지하고 있다. 반면 수도권 지역에 대해선 직전주(3월27일~4월2일)와 달리 한 등급 아래로 하향조정한 '높음' 단계로 평가했다. 즉 지역별 편차를 둔 셈이다.
이 같은 결정의 배경에 대해 이 단장은 "비수도권의 경우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지역별로 편차가 큰 상황과 확진자 발생이 수도권 대비 높은 상황을 고려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날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주 동안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총 152만9501명이다. 이는 일평균 확진자가 21만8500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된 셈이지만, 직전주보다 28.6% 감소한 규모다.
감염병의 전파속도를 수치화한 감염재생산지수(Rt)는 지난주에 0.82로 계산됐다. 직전주에 이어 지난주 역시 2주 연속으로 1미만을 유지하며 확진자 폭증이 소강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이 단장은 이에 대해 "당분간의 확진자 감소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주 동안의 확진자 일평균 발생률은 모든 연령대에서 직전주보다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백신접종률이 낮은 만 19세 이하 연령대에선 여전히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인구 10만명당 만 19세 이하 연령층은 613.2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이는 만20~29세의 431.8명, 만30~39세의 471.9명, 만40~49세의 417.3명, 만 50~59세의 325.7명을 상회하는 수치다.
특히 만 60세 이상 고령층의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338명으로 앞선 연령대들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방대본 관계자는 "높은 3차 접종률의 결과"로 설명했다.
하지만 만 60세 이상 고령층은 다른 낮은 발생률을 보인 것과 달리 전체 확진자 중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감염시 병세가 악화돼 중증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3월3째주 17.8%→3월4째주 18.4%→직전주 19.2%→ 지난주 20.1% 순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주 동안 병세가 악화돼 위중증환자로 분류된 확진자는 총 856명이다. 직전주 대비 20.5% 감소한 수준이다. 최근 3주 동안 주간 신규위중증환자 발생추이는 3월 4째주(3월20~26일) 1093명→직전주 1077명→지난주 856명 순으로 감소했다.
지난주 동안 환자 2163명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었다. 직전주 대비 6.4% 감소한 규모다. 최근 3주간 주간 신규 사망자 발생추이는 3월 4째주 2516명→ 직전주 2312명→지난주 2163명 순으로 소폭 감소했다.
이에 지난 9일 기준, 인구 10만명당 누적 사망률은 37.0명(치명률 0.13%)이다. 이를 연령대 별로 구분한다면,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529.0명(치명률 2.65%)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20.6명(치명률 0.65%), 60대는 31.7명(치명률 0.15%)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1주간의 사망자의 발생동향을 분석한 결과, 고연령층과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이들이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위원회는 감염상황을 종합해 "정부가 사망자 감소를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고, 재조합 변이 발생에 대해 끊임없이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원회는 "코로나19 전담의료체계에서 일반 의료체계로의 전환 및 감염병 급수 조정 등 대응체계 변화의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kyu0705@fnnews.com 김동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