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뢰도 1위' 에스토니아... 비결은 공공서비스의 디지털화
2022.06.05 18:06
수정 : 2022.06.05 18:06기사원문
오는 8일 'AI World 2022: Tech & Future'에서 '디지털 플랫폼 정부, AI정부가 국민의 사랑받는 비서가 되려면?'이라는 주제로 정책 좌담에 참여할 에스토니아 경제통신부 시그리트 시트(Sigrit Siht)PM(사진)은 5일 파이낸셜뉴스와 사전인터뷰에서 "에스토니아는 디지털플랫폼정책 추진으로 결혼, 이혼, 주택매매 등만 대면서비스로 제공하고, 99%의 공공서비스를 디지털화 했다"고 소개했다.
■전국민 AI비서 '뷰로크라트'
에스토니아는 올해 공공서비스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음성기반 전국민 인공지능(AI) 비서 '뷰로크라트(Burokratt)'를 도입, △소비자 보호 △기술 규제 △경찰 △국경경비대 △공공도서관 등 정부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그리트 PM은 뷰로크라트 서비스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에스토니아의 디지털플랫폼시스템이 힘을 발휘했다. 민관이 함께 '위기극복 해커톤'을 연 결과 전국에서 수십개의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식스폴드(Sixfold) 시스템은 유럽 지역 트럭들의 실시간 위치를 공개해, 물류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고 물류의 흐름을 통제하고 있다. 또 셰어포스원(Share Force One)이라는 글로벌 인력공유 스타트업이 탄생했다. 인적자원이 많은 기업과 일손이 부족한 기업을 연결해 임시로 인력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셰어포스원은 이미 세계시장에서 주목받는 스타트업으로 성장, 에스토니아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성과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에스토니아는 민간은 물론 다른 국가에서도 '뷰로크라트'를 널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든 코드는 오픈소스로 제공된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뷰로크라트 서비스 개발을 위해 지금까지 150만유로(약 20억원) 이상을 투입했는데, 앞으로 4년간 1300만유로(약 174억원)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공공서비스, 신뢰 얻는게 핵심"
시그리트 시트 PM은 "일반적인 유럽 국가들에서는 세금 신고를 위해 10분 이상 줄을 서서 대기해야 경우가 많지만, 에스토니아에서는 5분 이내에 새로운 주소지를 등록하고 10분 이내에 세금 신고를 할 수 있다"며 "훌륭한 공공 서비스의 핵심은 국민이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신뢰를 보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지난 1997년 인터넷 네트워크 확장 및 국민의 컴퓨터 활용능력 향상을 시작으로 디지털 플랫폼 정부 정책을 본격 시행했다. 2000년에 인터넷 접속을 인간의 기본원리로 규정한 법률을 제정한 뒤 2001년부터 공공 및 민간의 약 900개 기관이 안전하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체계 엑스로드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07년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을 계기로 2012년부터는 엑스로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고 있다.
엑스로드를 통해 에스토니아 국민들이 개인정보를 단 한번 작성하면, 서로 다른 정부기관에서 공공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하게 됐다. 시트 PM은 "정부 기관 간 데이터 공유는 엑스로드를 통해 이뤄지며, 이를 통해 국가의 다양한 공공서비스 및 민간서비스가 연계돼 조화롭게 기능한다"며 "안전한 교류를 위해 모든 송수신 데이터는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된다"고 덧붙였다.
이설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