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욕장·산책로 도로명 생긴다... 정부, 주소정보 5년 내 2배 확충
2022.06.07 12:00
수정 : 2022.06.07 18:02기사원문
행정안전부는 오는 2026년까지 주소 정책 및 추진 방향을 담은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기본계획은 도로명주소법에 따라 정부가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것이다.
이번 제1차 계획을 보면, 정부는 사람과 로봇 모두에게 고루 인식되는 촘촘한 주소정보 인프라를 2배 이상 확충한다.
주소정보는 생활과 행정에서 사용되는 장소의 단위 인프라다. 다양한 디지털 정보를 융·복합하는 최상의 데이터로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도 국가 주도로 생산·관리·유통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제1차 기본계획에 따라 현재 지상도로 등 16만개의 주소정보를 오는 2026년까지 지상도로, 고가·지하도로, 내부도로, 실내 이동경로 등 64만개로 4배 이상 확충한다.
또 건물 출입구 등 700만개의 배달 접점은 건물, 사물, 공터 등 1400만개로 2배 확충한다.
주소활용 취약계층과 지역 격차는 해소한다. 사람의 왕래가 적은 지역에도 주소체계를 마련해 지역 주민 생활과 관계인구의 방문 편의를 높인다. △농로, 임로, 방파제 등 농·어촌지역 △도로명주소가 없는 사업장 및 세입자 △산책로·해수욕장 등 야외 활동이 많은 지역이 대상이다.
아울러 1조원 규모의 주소정보 산업 창출을 지원한다.
송정아 행안부 주소정책과장은 "정부는 드론·자율주행 로봇 배송, 실내 내비게이션, 사물인터넷, 자율차 주차 등 주소기반 혁신서비스에 사용되는 인프라를 공공부문에서 구축, 제공한다. 이를 기업들이 활용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정부는 주소정보를 융·복합하는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영상·사진을 이용한 변화 탐지 기술 △인공지능을 이용한 주소 자동 부여 △지식그래프를 이용한 장소 지능화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주소정보가 지능화되고 촘촘해지면 비닐하우스에서도 정확한 위치로 배달이 가능해진다. 로봇·드론 배송, 전동 휠체어 내비게이션, 실내 내비게이션 등 새로운 서비스와 관련 산업도 창출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주소가 사람과 인공지능 간 위치 소통 수단이자 현실과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주소정보 산업을 활성화하고 관련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