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세장엔 맷집좋은 '채권펀드'… 올해만 몸집 1조 불렸다

      2022.06.15 18:14   수정 : 2022.06.15 18:14기사원문
잦아들지 않는 인플레이션으로 통화긴축이 지속되며 안전 자산인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에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채권 투자는 개인 접근성이 낮은 탓에 간접투자로나마 하락장에 대응하는 수요가 몰린 결과다. 다만 금리 인상 흐름이 이어지면 채권 가격 하락으로 펀드에서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15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으로 287개 국내채권형 펀드에 연초 이후 1조580억원이 신규 설정됐다. 특히 최근 1개월 새 7770억원이 유입되며 빠른 속도로 몸집을 불렸다.

펀드별로 '한화크레딧플러스(채권)[운용]', '한국투자크레딧플러스(채권)[운용]'가 최근 한달 간 각각 1702억원, 1698억원 설정으로 1, 2위에 올랐다. 설정액 유입 상위 10개 중 4개를 차지한 초단기채권 펀드 성과가 두드러졌다. 우리단기채권(채권), HDC단기채(채권)(운용), 현대트러스트단기채 1[채권](운용), 키움더드림단기채[채권] 합산 1260억원이 들어왔다.


금리 인상기에는 그 영향을 덜 받는 듀레이션(채권 회수 기간)이 짧은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 각광받는다. 단기채 펀드는 일반형과 달리 잔존만기가 짧은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해 표면 금리 자체를 수익으로 삼기 때문에 금리 상승 시 혜택을 볼 수 있다. 초단기채 펀드를 따로 떼서 보면 최근 1개월 새 2661억원이 들어왔다.

채권형 펀드는 지지부진한 장에서 맷집도 증명했다. 올해 들어 평균 손실률은 2.28%에 그쳤다. 같은 기간 코스피와 국내주식형 펀드 수익률은 각각 16.58%, 17.38% 떨어졌다.

이 같은 '머니무브'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지속 올리며 증시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안전자산인 채권 선호가 높아진 결과로 분석된다. 채권은 발행 주체에게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만기 때 원금 상환이 보장되고, 이자까지 지급받을 수 있다.

다만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41년 만에 최고치인 8.6%로 집계되며 자이언트스텝(0.75%p 인상) 관측마저 나오는 점은 투자 심리 위축 요인이다.
이에 따라 채권 가격이 계속 떨어지면 관련 펀드에서도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다.

이한구 금융투자협회 채권부 박사는 "고물가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 정책이 지속 단행되면 채권 투심이 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도 "아직 국내 인플레이션 경계심이 높은 상황으로 한국은행 금리 연속 인상으로 3·4분기 초까진 채권시장 약보합이 전망된다"며 "채권 금리가 기준금리 2.50% 이상을 반영하고 있어 고점을 통과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유럽중앙은행(ECB) 등 주요국 금리 인상 기조가 연말까지 이어질 수 있어 단기 금리 하향 안정은 제한될 것"이라고 말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