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회제한으론 역부족…요양병원·시설 또다시 감염 중심으로 부상

      2022.08.01 17:19   수정 : 2022.08.01 18:01기사원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 우려로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시설의 대면 면회가 다시 제한된 25일 서울 마포구 시립서부노인전문요양센터에서 한 어르신이 가족들과 유리벽을 사이에 두고 비대면 면회를 하고 있다. 2022.7.25/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요양병원이나 시설의 코로나19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 접촉 면회가 중단됐지만 이들 시설들이 또다시 감염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위중증 더블링(두배로 증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 진원지로 이들 시설이 지목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8월1일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28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일주일 전 144명의 1.99배에 달한다.
전체 확진자의 증가폭이 둔화하는 것과 달리 위중증 환자수는 '주간 더블링'으로 증가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이 가운데 60세 이상은 234명으로 81.5%를 차지했다. 사망자는 21명으로, 이중 60세 이상은 18명, 85.7%였다.

지난 7월26일에 방대본은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와 비중이 모두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60세 이상 확진자수는 6월5주 8205명 → 7월1주 1만4215명 → 7월2주 3만308명 →7월 3주 6만917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60세 이상 비율도 13.7% → 12.7% → 13.2% →14.2%로 증가했다.

고령층 위중증 환자 증가 원인을 당국은 감염취약시설에서의 발생 증가에서 찾고 있다. 감염취약시설 감염 발생은 지난 6월 주간 평균 6건에서 7월 2주간 평균 19건으로 증가했고, 7월26일까지 4주간은 총 55건이 빌생해 1053명이 감염됐다.

지난달 6일 파주의 한 요양병원에서는 간호사와 요양보호사가 첫 확진된 후 2주새 전체 입소자와 의료진 60%인 175명이 감염됐다. 요양병원이나 시설 집단감염은 이처럼 한번 시작되면 걷잡을 수가 없다. 과거 전북 전주시 요양병원에서는 609명이 감염됐고 경기 의왕시 정신병원, 경기 안산시 요양병원, 광주 남구 요양병원, 광주 광산구 요양병원, 전북 완주군 정신병원 등 시설은 300명~500명대는 예사로 확진됐다.

이에 정부는 부랴부랴 지난달 25일부터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시설에서 허용되던 대면 면회를 금지하고 비접촉 면회만 가능하도록 방역 수칙을 강화했다. 입소자의 외출·외박은 필수 외래진료를 제외하고는 모두 금지되고 종사자의 PCR(유전자증폭) 검사 주기도 단축됐다. 이들 시설에서의 코로나19 먹는(경구용) 치료제의 빠른 처방도 실시중이다.

정부는 감염취약시설의 4차접종도 독려 중이다. 이에 따라 4차접종 대상자인 요양병원과 시설의 입소자나 종사자 52만6967명중 지난달 31일까지 64.8%가 접종받았다.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접종대상자 7만916명 가운데서는 59.7%가 접종받았다.

하지만 얼마나 이런 대책들이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요양병원·시설은 기저질환이 있는 고령자가 대부분이라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 가능성이 크다. 또 요양시설 특성상 직원들이 여러 방을 돌아야 하는데 감염병이 발병해도 따로 격리할 만한 시설을 갖춘 곳이 없다. 결국은 시설 내에 있는 사람들에겐 다 퍼진다는 의미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고령층 확진자 증가 이유에 대해 "학령기 학생들과 젊은층의 감염이 가정이나 요양시설 내 고령층에게로 퍼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부터는 국경 봉쇄 등은 아무 소용이 없었듯 전파력이 강한 BA.5 변이가 요양병원 담장을 넘어가기는 어렵지 않아 보인다.

아울러 예방접종의 감염예방이나 중증화예방 효과가 그리 높지 않은 것도 더욱 감염취약시설 방역을 어렵게 하고 있다. 건강한 사람이라도 4차접종의 감염예방효과는 20%대, 중증예방효과는 50%인데 이는 고령층에서는 더 떨어진다.

천은미 교수는 "사실 당국은 중증예방효과가 50%는 되니 4차접종을 받으라고 하지만 이는 건강한 사람의 경우다.
요양시설에서 투병하시는 분들의 중증예방효과는 더 떨어져 29% 정도"라고 밝혔다.

결국은 시설 개선이나 중환자 전문 인력을 키우는 등 근본적인 대응대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8일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전문가 초청 브리핑'에서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인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우리나라가 국력에 비해 대형병원, 요양병원이 다인실 위주로 돼있어 시설이 열악하고, 감염전문의나 중환자 전문의 인력이 부족해 작년 말 중환자가 폭증했을 때 쩔쩔맸던 기억이 생생하다"며 "중장기적 과제이지만 계획을 세우는 일이라도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한다고 건의드린다"고 말했다.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