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정진석 비대위, 尹과 거리 좁히고 李와는 신경전

      2022.09.14 16:01   수정 : 2022.09.14 16:19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과 만나 '윤석열 정부 성공'을 위한 뒷받침을 약속하는 등 지도부 정상화 의지를 다졌다.

이진복 수석도 당의 조속한 정상화를 당부하는 등 집권 첫해 지지율 폭락과 집권 여당 내분 사태 장기화라는 초유의 위기 상황을 조속히 매듭지어 달라고 주문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이 정무수석을 접견하고 "비대위에 주어진 임무에 대해 우리가 잘 인식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 집권여당으로서 책임있는 역할을 다 할 것"이라며 정부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내년 예산안 심사와 윤석열 정부 첫 국정감사를 앞둔 데 대해선 "여당으로서 차질 없이 할 것이고 예산과 국감 국회에 모두 밀도 있게 임해서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각오를 밝혔다.

이어 "당 지도체제를 조속히 안정적으로 확립하는 게 무엇보다는 중요하다는 인식을 같이했다. 우리가 마음 다잡고 오직 국민만 바라보고 정국 안정과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진력을 다하자는 의견을 모았다"면서 '당 안정'과 '민생 해결'을 강조했다.

이 수석은 윤 대통령의 축하난을 전하고 "대통령께서도 당이 빨리 안정돼서 국민의 기대를 충족할 수 있는 모양이 되기를 희망하지 않겠나"라며 화답했다.


이외에도 정 위원장이 오는 18일 대통령의 영국 출국에 맞춰 직접 배웅하겠다고 밝히는 등 당과 대통령실 간 '거리 좁히기'에 나선 모습이다.

이 수석은 접견 후 기자들과 만나 19일 예정된 당 원내대표 선거에 대해 "그 일에 대해 비서실에서 관여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윤 대통령의 '당무 불개입' 원칙을 확인했다. 야당에서 윤 대통령 측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의혹 관련 '쌍특검'을 주장하는 것에는 "김건희 여사님에 대해 지난 정부에서 2년동안 할 만큼 했다"라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이날 정 위원장이 여야 중진협의체 등 여야 간 대화 복원을 제안한 가운데 이 수석은 "윤 대통령은 영수회담이라는 용어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과거 여당 총재가 있을 때 영수회담이란 말이 일리 있었던 것"이라며 "대통령이 해외순방을 다녀오고 한 번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만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앞서 정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정치권 정쟁이 국회로 밀려들고 있다. 소모적인 정쟁에서 민생 현안을 분리해야 한다"며 여야 중진협의체, 북핵 공동결의문 채택을 공식 제안했다. 여당 내홍으로 '민생 공백'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야당에 '민생 협치' 메시지를 던지면서, 국정 주도권 잡기에 나선 셈이다.

이런 가운데 정진석 비대위와 이준석 전 대표의 '법정 장외 신경전'이 이어졌다. 정 위원장은 회의에서 이 전 대표를 겨냥 "전 당 대표가 당에 무차별적으로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라며 작심 비판했다. 이날 법원에서 새 비대위의 출범 근거가 되는 '당헌 개정' 관련 심문기일이 진행되는 가운데 이 전 대표를 공개 비판하며 날을 세운 것이다.

이 전 대표도 서울남부지법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가처분 심리는 법원에서 일정 부분 판단을 내린 부분에 대해 불복하는 걸 다루는 것인 만큼 순탄하게 진행될 것이라 믿는다"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 전 대표는 새 비대위 효력정지 심문기일이 연기된 데 대해 "판사 재량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지만 소급 적용된 당헌 개정이기 때문에 법률가들이 입모아 (효력정지 가능성을) 얘기하고 있다"라며 '비대위 효력정지'에 힘을 실었다.

서울남부지법 민사합의51부(수석부장판사 황정수)는 이날 오전부터 △당헌 개정 관련 전국위원회 개최금지 관련 △주호영 전 비대위원장 직무정지 가처분 인용에 대한 국민의힘 이의 신청 △비대위원 직무정지 등 3건에 대한 심문을 진행했다.

국민의힘 기일 변경 요청으로 미뤄진 '정진석 비대위' 효력정지 가처분 심문은 28일에 진행된다.
28일에는 이 전 대표 등에 대한 중앙윤리위원회 일정도 예정돼있어 정진석 비대위와 이 전 대표 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