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조정 유동성비율 107% "PF 채무보증 감당 가능"
2022.10.24 15:10
수정 : 2022.10.24 15:10기사원문
24일 백두산·윤여훈 한국투자증권은 연구원은 "자료를 확보한 26개 증권사의 자기자본 대비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39%로 높지는 않다"며 "이는 증권업 PF 채무보증이 증권사 전체 채무보증 대비 52%인 점과 PF 대출이 증권사 전체 신용공여의 12% 규모라는 점을 고려해 추산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증권사의 PF 관련 우려는) 자본 적정성의 문제라기보다는 유동성의 문제"라면서도 "증권사별로 조정 유동성비율은 101∼112% 사이에 위치하며 가중평균은 107%로, 개별 증권사 차원에서 유동성은 상당 부분 확보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조정 유동성비율은 유동성 부채와 우발채무(채무보증)를 합한 금액 대비 기존 유동성 자산의 비율이다. 주요 증권사의 조정 유동성비율을 살펴보면 미래에셋증권 122%, 삼성증권 107%, NH투자증권 105%, 키움증권 105%, 하나증권 103%, 신한투자증권 103%, 메리츠증권 102%, 대신증권 101% 등이다.
다만 전반적인 단기자금시장의 조달 어려움으로 현금성 자산을 상회하는 보증 이행이 필요해지면 2차 효과(보유자산 매각)로 자산 매매평가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지적했다.
백 연구원은 "코로나19 위기 당시인 2020년 3월 증권사의 채무보증 이행액 비율은 13.1%로 확대됐었다"며 "이번에도 증권사 PF 채무보증의 13%가 이행된다고 가정하면 보유 현금성 자산 대비 이행액 비율은 평균 17%로 낮다"고 분석했다.
이어 "일부 증권사는 해당 비율이 40%를 상회한다"며 "현실적으로 증권사의 채무보증 이행액 비율이 코로나 당시 13.1%보다 높은 20%를 넘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정부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에 따르면 분석 대상인 24개 증권사의 현금성 자산 대비 PF 익스포저 비율은 155%다. 주요 증권사별로 보면 미래에셋증권의 해당 비율은 68%, NH투자증권 157%, 삼성증권 103%, 키움증권 70% 등이었다. 이에 따른 현금성 자산 대비 PF 채무보증 이행액 비율은 각각 순서대로 6%, 15%, 12%, 9% 등이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다행히 여러 효과적인 조치들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며 상당히 강력한 조치가 일시에 빠르게 발표된 만큼 자금경색 개선 효과가 뚜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백 연구원은 "혹시 해당 조치로 인한 시장 안정이 미진할 경우 2020년 3월 사례를 고려할 때 저신용등급 포함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기구(SPV) 재가동이나 한국은행 환매조건부채권(RP) 대상 기관 확대, 정례 RP 매입 도입 등 다양한 방안들이 추후 나올 수 있다"고 봤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