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선진국 선점 원전해체 시장, 우리나라도 진출 본격화

      2023.02.14 17:12   수정 : 2023.02.15 09:43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국내 원전 산업이 부흥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원전 해체 산업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첫 번째 원전인 고리 1호기의 해체가 눈앞에 다가온데다 전 세계에 지어진 600여기의 원전도 해체 시기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약 462조원 규모의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이 2030년부터 본격화된다는 점에서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등은 방사선 관리, 방사성폐기물 처분, 초음파 제염 등 관련 기술을 확보한데 이어 이를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460조 원전 해체시장 열린다

14일 산업부와 한수원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영구 정지된 원전은 204기이며, 이 중 해체 완료된 원전은 21기에 불과하다. 미국 에너지솔루션스, 영국 아멕, 프랑스 오라노 등 초기 원전 도입국가들을 중심으로 10여개 주요 기업들이 원전 해체 시장을 장악해왔다.
아직까지 해체 완료한 원전의 숫자는 적지만 향후 해체할 원전을 감안하면 시장은 작지 않다. 원전 1기 해체에 드는 비용은 약 1조원에 달한다. 앞으로 약 100년 동안 해체하는 원전을 감안하며 약 462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특히 2020년대 중반부터는 설계수명 만료 원전 증가로 시장이 확대되고 2030년경부터는 체코, 대만 등 후발 원전도입국까지 시장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원전 해체에는 통상 15년 정도가 걸린다. 사용후핵연료 반출 등에 5년, 비(非)방사성 시설 철거와 방사성 시설 제염·해체 등에 8년, 이후 부지 복원에 2년이 소요된다. 해체 절차는 대개 사용후핵연료 냉각 및 반출, 제염·해체, 비방사성시설 철거, 폐기물처리시설 구축, 방사성시설 철거, 부지 복원의 순서다.

해체 방식은 즉시 해체와 지연 해체로 나뉘는데 즉시 해체는 해체인허가 직후 기기, 구조물, 방사성 오염 폐기물 등을 제염 및 해체해 최종 처리하는 형태다. 독일, 프랑스 등 주요 원전국가는 즉시 해체를 선호하는 데 부지 재사용, 경제성 제고, 경험인력 활용을 위해서다.

지연 해체는 발전소 해체 인허가를 취득한 후에도 시간 지연에 따른 방사능 반감 효과를 통한 계통선량 저감을 위해 상당기간 동안 안전관리를 수행한 후 해체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미비한 국가 일부에서는 지연해체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리1호기 폐로…실증 개시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 26기 중 영구 정지 상태로 해체가 예정된 것은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 등 2곳이다. 24기의 상업 운영 원전 중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도래하는 원전도 10기에 달한다. 원전은 핵연료와 냉각재 종류에 따라 △가압경수로형 △가압중수로형 △비등경수로형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가압경수로형이 22기, 가압중수로형이 4기가 있어 각각에 맞는 해체 기술이 필요하다.

지난 2015년 해체를 결정한 고리 1호기는 가압경수로형으로 폐로를 결정한 시점부터 정부가 핵심기술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이에 96개 해체기술 중 핵심기반기술 38개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상용화기술 58개는 한수원에서 개발을 완료했다.

가압중수로형 원전인 월성 1호기와 관련해서도 건설 당시 설계를 맡은 캐나다 기업 '칸두 에너지'와 지난해 원전해체 분야 사업협력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미 확보한 기술외에 칸두 에너지의 기술적 지원 역시 필요해서다.

원전 해체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전문기관인 원전 해체 연구소도 지난해 10월 착공했다. 원전 해체 연구소는 원전 해체를 전담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연구소로 △해체기술 실증 △해체 기술개발 지원 △방폐물 분석 지원 △국내외 원전해체 정보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기술 확보를 완료한 정부는 전문기업과 인력양성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산이다. 산업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문기업 100개를 키우고 25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해 1억달러 규모의 해외 수주를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2030년까지 국고 2660억원과 민간에서 822억원을 들여 원전 해체 산업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기술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