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韓 기준금리 상반기 3.75%, 연말 최고 4.0%"

      2023.02.23 06:00   수정 : 2023.02.23 07:13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현재 3.5%인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상반기 3.75%에 이어 연말에는 3.75~4.0% 수준이 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2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23년 기준금리 예측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과 국내 물가 불안으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높다고 분석했다.

둔화세를 보이던 미국의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가 올해 1월 들어 재차 상승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아 연준이 현재 상단 기준 4.75%인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인상할 개연성이 크다고 봤다.



국내물가 불안도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지난해 7월(6.3%) 이후 둔화되던 소비자물가가 올해 1월 5.2%로 재차 상승했다.
기조적 물가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도 지난해 8월(4.4%) 이후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1월 근원물가 상승률(5.0%)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월(5.2%)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최대치이다.

한경연은 근원물가가 안정되지 못할 경우 향후 국제원자재 가격이 안정돼도 소비자물가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한경연은 추가적인 국내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지만, 침체된 실물경제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했을 때 인상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았다.

그동안 우리 경제는 외환위기, 코로나 등 초대형 위기를 제외할 경우, 2%대 성장률을 유지해왔다. 올해는 이를 하회하는 1%대의 저성장이 예상될 만큼 경제사정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한경연은 어떤 변수가 한국의 기준금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기 위해 2001년 1·4분기∽2022년 4·4분기 자료를 이용해 한국 기준금리와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상승률, 원화기준 원유·천연가스 수입물가 상승률, 국내총생산(GDP) 디플레이터 상승률, 미국·유럽연합(EU)·영국 기준금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는 EU의 기준금리였다. 다음으로 영국 기준금리, 미국 기준금리, 소비자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의 순이었다. 한경연은 한국은행이 그동안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미국의 기준금리를 일방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주요 경쟁국들의 기준금리 수준과 물가·성장률 등 국내외 경제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한경연이 추정한 반기별 국내 기준금리의 평균 수준은 상반기말 3.75%, 연말 4.0%로 나타났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상반기 중 한 차례만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하반기에는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없을 것으로 봤다.

한경연은 석유류 등 국제원자재 가격과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안정돼 주요국들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없을 경우 국내 기준금리는 상반기 3.75%로 인상돼 하반기에도 유지되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하반기에도 기준금리는 한 차례(0.25%) 더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내경제의 침체에도 물가부담과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국내 기준금리 인상압력이 높아진 상황이어서 한은의 통화정책운용에 어려움이 많다”면서도 "미국의 금리인상을 단순 추종하기보다는 경쟁국의 금리인상 여부와 국내 경제상황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신중한 금리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