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오가 외친 "코인 이코노미 2.0"...김치코인 벗어난다

      2023.02.23 16:51   수정 : 2023.02.23 16:51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네이버와 카카오의 가상자산이 다음 스텝으로 진화하고 있다. '김치코인(국내에서 발행·유통되는 가상자산)'의 문제를 극복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링크' "제로 리저브" 선언 후 원화 상장

23일 블록체인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라인은 자체 가상자산 링크(LN)를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의 원화마켓에 상장했다.



링크는 앞서 지난 2021년 8월 빗썸의 비트코인(BTC) 마켓에 상장돼 있었다. 이번 원화마켓 상장으로 국내 사용자들은 앞으로 원화로도 쉽게 링크를 거래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상장으로 링크는 원화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테더(USDT), 엔화(JPY) 등 총 네 개 통화를 지원하게 되며, 빗썸, 후오비(Huobi), 라인 비트맥스(LINE BITMAX), 멕시(MEXC), 게이트아이오 등 총 5개 거래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화마켓 상장으로 링크 거래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가상자산 정보업체 코인게코에 따르면 지난 22일 링크의 거래량은 247만3459달러였지만 23일 4시11분 기준 2423만1346달러로 10배 가깝게 늘어났다. 빗썸 원화마켓에서의 거래비중도 83.76%에 이른다.

링크가 자신감 있는 행보를 보일 수 있는 이유로 업계에서는 '제로 리저브'를 꼽는다. 라인 측은 지난해 말부터 '토큰 이코노미 2.0'를 공개하면서 사전 예비 물량을 발행하지 않는 '제로 리저브' 전략을 채택했다.

'제로 리저브'는 코인을 발행한 업체와 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미유통 가상자산 물량을 없앤다는 뜻이다. 주식시장으로 치면 '자사주 소각'과 비슷한 개념으로, 소위 코인을 팔아서 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라인 블록체인은 현재까지 유통된 673만4458링크 이후로 링크는 블록 생성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만 발행되며 그 외에는 어떠한 발행도 하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토큰 이코노미 1.0에서 정한 1억1000만개의 유통 한도 정책 또한 영구적으로 폐지된다.

당시 라인 블록체인은 "단 한 번도 신규 발행된 링크를 현금화하거나 링크를 담보로 한 레버리지 사업을 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덕분에 지난해 말까지 20달러 수준에 머물던 링크의 가격은 현재 50달러 선까지 상승했다.

"脫김치코인 위한 전략" vs "모두 따를 필욘 없어"

이러한 방향성을 카카오가 주도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도 받았다.

클레이튼 재단은 클레이튼 기축 유틸리티 토큰인 클레이(KLAY)의 미유통 물량 총 약 72억8000만개의 73%에 달하는 52억8000만클레이의 신속한 소각 계획을 포함한 토크노믹스 안을 투표에 부쳤다고 밝혔다. 또 나머지 20억클레이도 향후 3년 내 최적의 활용처를 찾지 못한다면 전량 소각하겠다고 덧붙였다.

클레이튼 재단은 이를 통해 재편성한 생태계 재원 활용 및 거버넌스 카운슬(GC) 보상 계획을 포함한 새 토크노믹스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클레이 인플레이션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 참여자들이 더 높은 동기부여를 얻을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클레이튼 재단은 지난 2019년 메인넷 출범 시 최초 100억개의 클레이를 발행한 바 있다.

52억8000만클레이 소각에 더해 나머지 20억클레이도 3년 내 소각하면 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가상자산이 없는 상태가 된다. 사실상 제로 리저브 상태가 된다는 의미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의 '자사코인 소각(제로 리저브)' 소식에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관계자는 "글로벌 코인과 다르게 김치코인은 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물량이 워낙 많아서 비판을 받아 왔다"라며 "'제로 리저브'를 통해 그동안 경쟁력에 의문 부호가 제기됐던 코인 가격을 살릴 수 있는 전략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제로 리저브'가 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냐는 질문에는 "굳이 그럴 필요까지는 없다"라는 반응이 나왔다.
최화인 블록체인 에반젤리스트는 "프로젝트 초기엔 재단이 어느 정도 물량을 갖고 있어야 프로젝트를 끌고 갈 수 있는 추진력이 생긴다"라며 "'제로 리저브' 트렌드를 국내의 다른 프로젝트도 굳이 동참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