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년 만에 복원된 거북선 "상상과 다르네"
2023.03.19 18:20
수정 : 2023.03.19 18:20기사원문
지금까지 알려졌던 거북선은 지붕 전체가 둥그런 모양으로 씌워진 형태다. 하지만 실제 거북선은 갑판의 모서리 부분만 덮개로 씌워져 있고, 가운데 3층이 튀어나와 있다는 새로운 가설이 제기됐다.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채연석 박사는 1795년 정조때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의 '귀선도설'과 다양한 역사 자료를 종합해 거북선의 모습을 복원한 결과를 19일 공개했다.
채 박사는 이날 65분의 1로 축소한 거북선 모형을 공개했다. 거북선의 3층에는 화포가 배치됐으며, 2층은 노를 젓는 격군이 위치하고 중앙에 군사들의 휴식공간과 무기저장고가, 1층에는 식량창고가 있다.
채 박사는 귀선도설에 나와있는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이 갑판 길이 85척(26.6m), 폭 32척(10m)의 규격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거북선보다 갑판의 폭이 넓다.
채 박사는 "그동안 거북선을 복원할때 사용했던 자료가 조선시대의 전함이 아닌 여객선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에 갑판의 길이와 폭 비율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채 박사는 또 귀선도설에 그려져 있는 거북선에서 갑판 위를 덮고 있는 부분 중 두개의 굵은 선에 주목했다. 이 굵은 선 사이에 함포나 조총을 쏠 수 있게끔 구멍이 있다. 이를 갑판 중앙을 마치 다락방처럼 만들어 적의 공격을 막고 함포 사격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라고 해석했다.
채 박사는 이 주장에 대한 근거로 '각사등록' 통제영계록을 제시했다. 자료에 따르면 거북선과 판목선의 제원은 저판의 길이가 같은 경우 두 전함의 1층과 2층의 규격은 같다. 따라서 거북선은 별도로 설계해 건조하지 않고 기존 판옥선 3층 갑판 중앙에 개판을 만들고 그 속에 함포를 장착했다는 것이다.
그는 "이같은 이유로 판옥선의 3층과 거북선의 3층 개판은 비슷한 무게로 만들어야 배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3층 전체에 지붕을 씌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즉 윗부분 무게가 많이 증가하면 안전성이 떨어져 실제로 운항하거나 전투때 균형을 맞추지 못하고 침몰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