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 하나만 낳아 길러"..첫째아 비중 '사상 최고' 기록했다
2023.03.26 09:12
수정 : 2023.03.27 17:24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출생아 중 첫째아의 비중이 60%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이를 둘 이상 낳는 가구가 점점 없어지는 등 저출생이 심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26일 통계청의 '2022년 출생·사망 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태어난 아이 중 첫째아는 15만6000명으로 전체 출생아(24만9000명)의 62.7%를 차지했다.
지난해 출생아 중 첫째아는 2021년(14만8000명)보다 5.5%(8000명) 늘었다. 2015년 1.4%(3000명) 증가한 이후 7년 만의 반등이다. 코로나19 등으로 미뤄왔던 출산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둘째아는 2021년 9만1000명에서 2022년 7만6000명으로 16.7%(1만5000명), 셋째아 이상은 2만1000명에서 1만7000명으로 20.9%(4000명) 각각 급감했다.
지난해 전체 출생아는 전년보다 4.4%(1만2000명) 줄었다. 아이를 둘 이상 낳지 않은 것이 영향을 미친 셈이다.
전체 출생아 중 둘째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35%에서 30.5%로, 셋째아 이상은 8.2%에서 6.8%로 감소했다.
첫째아 비중은 2011년부터 12년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둘째아 비중은 2015년부터, 셋째아 이상은 2018년부터 하락세다. 자녀를 2명 이상 낳지 않은 배경에는 출산 시기가 늦어지는 점과 육아에 대한 경제적 부담 등이 꼽힌다.
이어 2021년 기준 여성이 첫째아를 낳는 연령은 32.6세로 전년보다 0.3세 늘었다. 1993년(26.2세) 이후 연령은 매년 올라가고 있다.
특히 자녀가 많을수록 지출 부담이 큰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미혼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 가구의 소득 대비 소비 지출의 비중은 월평균 60.4%로 미혼 자녀가 1명인 가구(51.5%)보다 컸다.
이와 관련해 신윤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결혼하면 자녀를 낳아야 한다는 관념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육아에 따른) 여러 비용이 드는 데다 노후의 불안정 등으로 자녀를 한 명 낳는 데서 멈추는 경우가 많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 중 자녀가 1명인 가구의 비중이 2016년 38.8%에서 2021년 40.9%로 늘어나는 동안, 2자녀인 가구의 비중은 50.7%에서 48.9%로 절반 이하로 내려가는 등 다자녀 가구는 점점 감소하는 추세다.
한편 결혼 후 자녀를 낳아야 한다는 인식이 줄어들면서 저출생 경향은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중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65.3%로 2018년보다 4.3%p 하락했다. 13∼19세가 41.1%, 20대가 44.0%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이러한 인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helpfire@fnnews.com 임우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