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인재를 의대에 뺏겼다고요?

      2023.04.23 14:26   수정 : 2023.04.23 14:26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반도체 계약학과를 졸업해서 삼성전자에 입사하면 직장이 생기고, 의대를 졸업하면 직업이 생기는데 비교가 될까요?"
반도체 계약학과 합격자의 등록 포기 현상에 대해 일선 고교 교사인 지인은 이렇게 답했다. 그는 "의학계열을 포기하고 반도체 계약학과를 선택한 학생들이 있다는 점이 오히려 고무적인 일 아니냐"고 반문했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자연계열 정시모집에서 의·치의예과가 상위 20위를 싹쓸이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서울대 공대는 컴퓨터공학부가 15위를 차지하며 체면을 지켰지만 올해는 '차트 아웃'됐다. 더 큰 문제는 적은 공대에 뒀지만 마음은 의대에 있는 학생들이다.
무소속 민형배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의대 정시 합격자 중 N수생 비율은 78.7%였다. SKY(서울·고려·연세대) 자퇴생 10명 중 8명이 자연계열 학생이라는 점을 봤을 때 이들 대부분이 의대로 진학했을 것이라는 것은 합리적 추측이다.

"반도체가 석유보다 더 중요하다". 돈 그레이브스 미국 상무부 부장관의 말이다. 석유를 두고 각국이 헤게모니 싸움을 했던 것처럼 반도체를 두고 총성 없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 전쟁의 핵심 무기는 인재다. 윤석열 대통령은 10년간 15만명의 반도체 인재 양성을 약속했다. 기업들은 채용보장형 계약학과를 개설하며 인재 입도선매에 나섰다. 하지만 계약학과 개설은 의대 쏠림 속 인재난의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 한 대학 교수는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전자공학 등 이공계 학문의 토양이 전반적으로 탄탄해야 한다"면서 "결국 석·박사생이 핵심인데, 서울대 조차도 대학원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반도체 인재에 대한 처우개선이 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지적했다.

붕괴된 공학교육도 톺아봐야 한다. 경쟁국 일본과 대만은 첨단산업 인재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일본은 대학들에게 기존 인문·사회계열 학부를 이공계열 학부로 전환하거나 신설을 신청할 시 보조금 지급을 약속했다. 한국은 어떤가. 수능 과학 과목 사이에서 가장 적게 선택하는 과목이 공학의 토대인 물리다.
명문대 공대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고교 물리부터 가르치고 있다. 자연계 최상위권이 '닥치고 의대'가 아니라 공대로 진학하는 게 '기행'이 아닌 시대가 오길 바라는 것은 과한 욕심일까.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