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때문에 못 살겠다"…하반기엔 숨통 트일까

      2023.06.01 05:00   수정 : 2023.06.01 05:00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소비자물가가 14개월 만에 3%대로 내려온 가운데, 하반기 들어 물가상승세 둔화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지속적인 물가 하락으로 하반기에는 2~3% 물가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전기·가스요금 인상 등 물가를 자극할 변수들이 상존해 물가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5월 물가둔화세 이어질까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통계청은 2일 '2023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찍은 후 5%대를 기록하다가 지난 2월 4.8%, 3월 4.2%에 이어 4월 3.7%를 기록하며 둔화했다. 물가상승폭이 3%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4개월 만이다.

지금까지의 물가 흐름은 정부의 예상과 부합했다. 정부는 2·4분기 물가가 3%대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소비자물가가 6%대를 기록하던 지난해 6~7월 기저효과를 고려할 때 이르면 올 여름 2%대도 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근원물가 높고 전기·가스요금 인상 변수

하지만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지난 4월 4.6%의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외식물가도 살벌하다. 국내 대표적인 외식 품목 가격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8개 외식 품목의 지난달 서울지역 평균 가격이 작년보다 최고 13% 가까이 뛰었다. 삼계탕 1그릇 가격은 지난달 1만6346원으로 1년 전보다 12.7%나 상승했다. 자장면은 12.5% 올랐고, 삼겹살(200g 환산 기준)은 11.4% 상승했다. 이밖에 김치찌개 백반(8.6%↑), 김밥(7.4%↑), 냉면(7.2%↑), 비빔밥(6.9%↑), 칼국수(6.5%↑) 등 조사 대상 품목 가격이 모두 올랐다.

하반기 공공요금 등 생활물가도 변수다. 정부가 인상시기를 늦췄던 2·4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분을 지난 5월 16일부터 적용하면서 물가 상승요인이 발생했다.

공공요금은 원가상승을 통해 다른 상품 가격에 미치는 파급력이 큰 편이다. 이번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1%p 끌어올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전기·가스 등의 공공요금 인상은 물가 상승세의 둔화를 지연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지난해 7월 6.3%를 정점으로 하락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같은 해 9월 5.6%에서 10월 5.7%로 소폭 상승한 바 있다.

지난해 10월 전기요금이 1킬로와트시(kWh)당 7.4원, 민수용(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도 메가줄(MJ) 당 2.7원씩 각각 인상된 결과다.

'금겹살' 드디어 싸질까

정부는 우선 고공행진 중인 먹거리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관세 0%' 카드를 꺼냈다. 돼지고기와 고등어, 설탕 등 농·축·수산물 할당관세율을 이달 초부터 대폭 인하한다.

이달 삼겹살 가격은 평년보다 약 17%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돼지고기는 수요가 늘어난 반면, 유럽산 수입단가가 오르면서 공급이 감소했다. 기재부는 최대 4만5000t까지 0% 할당관세를 적용할 예정이다.

공급량이 부족해 가격이 오른 고등어도 오는 8월 말까지 1만t 물량에 대해 할당관세 0%를 적용한다. 고등어 물가지수 상승률은 올해 들어 전년 동월 대비로 두 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식품 원재료로 쓰이는 설탕(10만5000t)은 할당 관세율을 0%로 낮추고 소주 등 원료로 사용되는 조주정은 올해 하반기까지 할당관세 0%를 적용한다.

기재부는 "올해 전반적인 물가가 다소 안정됐으나 일부 농축산물의 경우 수급불안과 국제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하반기 가격 인상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이번 조치를 통해 서민들의 먹거리 물가부담이 상당 부분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당분간 '물가 안정'에 방점을 둔 정책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