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54세... OECD 평균보다 10세 높아

      2023.07.20 12:00   수정 : 2023.07.20 14:25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저출산·고령화 현상 심화로 2050년 국내 취업자 평균연령은 약 54세까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이는 OECD 국가 평균보다 10세가량 높아, 고령층 생산성 제고와 인력수급 개선 등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1일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 취업자 평균 연령은 46.8세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계청 장래인구추계 바탕으로 현재의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취업자 평균연령을 구한 결과, 우리나라 취업자의 평균연령은 2030년에 50세를 넘어서고 2050년에는 53.7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는 OECD 국가의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인 43.8세보다 9.9세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최근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출산율 부진 현상이 예상보다 심화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취업자의 고령화 속도는 예측치보다 더 빠를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SGI 관계자는 "경제·산업 패러다임이 연구개발(R&D), 소프트웨어 등 무형자산 중심 경제로 전환되며 젊은 기술 인재들의 창의적 아이디어 공급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며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고 기술변화 속도가 빠른 업종에서 젊고 양질의 노동력 공급이 줄어들게 된다면 국가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커다란 지장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산업별로 50세 이상 비중을 계산해 본 결과 제조업은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등 저위기술 산업 중심으로 고령 취업자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부동산(67.8%), 사업지원(57.1%) 등 저부가가치 업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약(15.7%), 전자·컴퓨터·통신기기(18.2%) 등의 제조업과, 정보통신(16.8%), 전문과학기술(23.8%) 등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고령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김천구 SGI 연구위원은 "아직까지는 괜찮은 편이지만 앞으로 20~30대 인구가 급감하는 인력공급 환경에서 고위기술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이 구인난을 겪을 가능성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30대 인구는 2022년 1357만8000명에서 2030년 1208만32000명, 2040년 948만1000명, 2050년 735만400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취업자 고령화 문제는 인력 미스매치와 산업경쟁력 저하, 지방소멸과도 밀접한 연관관계를 보인다. 경제계에서는 출산율 제고와 취업자 생산성 향상, 산업별 인력수급 문제 등 종합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SGI 관계자는 "저출산 관련 예산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출산율은 오히려 하락하며 정책의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행 저출산 정책들의 비용과 출산율 제고 효과를 엄밀히 따져 정책효과가 큰 사업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고령층 생산성 유지를 위해서는 공평한 교육과 훈련 기회 제공, 임금체계 개편을 위해서는 업무의 성격과 난이도에 따른 보상을 받는 직무급제로의 개편 등을 제시했다.


박양수 대한상의 SGI 원장은 "국내 경제의 구조적 문제인 저출산·고령화, 주력산업 경쟁력 저하, 지역소멸 등을 해결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방안, 지역 산업역동성 회복, 혁신인재 공급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국가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