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우려 전 비은행권으로···지방선 회수지연 심화”

      2023.11.22 14:13   수정 : 2023.11.22 14:13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지방 사업자 침체가 장기화될 것이란 신용평가 업계 주장이 나왔다. 과거 저축은행 정도에 한정됐던 위험노출액(익스포져)이 증권·저축은행·여전 등 전 비은행권으로 퍼져있는 만큼 정부 지원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동반됐다.

“증권 지방사업장 비중 45%”
위지원 한국신용평가 구조화평가본부 실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무디스-한신평 공동주최 미디어브리핑’에서 “지방 사업장 회수지연 심화로 브릿지론(사업 초기대출)에서 지방 사업자 비중이 상승 중”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한신평에 따르면 증권사의 지역사업장 비중은 평균 45.7%(대형사 47.4%, 중소형사 44.0%)로 집계됐다. 저축은행(35.9%), 캐피탈(33.1%) 등도 30%를 넘겼다.
위 실장은 “서울 및 수도권은 인허가 완료 비중이 각각 12.7%, 16.6% 정도로 저조하다”며 “공사비 비중 높은 지방 부담은 더욱 크다”고 덧붙였다.

위 실장은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이제 저축은행을 넘어 전업권에 해당하는 문제라고 봤다. 12조원이었던 지난 2008년 저축은행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지난해 9월 기준 11조원으로 줄었으나 증권(3조원→27조원), 여전(4조원→27조원), 보험(6조원→45조원) 등은 대폭 몸집을 불렸다.

다만 그는 “개별 금융기관 지본완충력이 양호하고 감독당국도 충당금 적립을 유도 중”이라며 “금융기관 자본비율이 과거 대비 개선됐고, 아직은 부실 정도가 심하진 않다”고 짚었다.

손정민 무디스 아시아태평양 금융 담당 애널리스트는 국내 은행 ‘테일 리스크’로 부동산 경기 약세 장기화를 꼽았다. 테일 리스크는 드물지만 발생 시 큰 손실을 야기하는 요인을 뜻한다.

손 애널리스트는 이어 “높은 수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국내 은행 시스템 취약성을 확대하고 있다”며 “고금리 장기화는 추가적 자산건전성 압박 요소로 작용 중”이라고 말했다.

“국내 기업 신용등급 하향 압력 커”
국내 기업 신용등급 하향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판단도 나왔다. 올해 한신평에 의해 신용도가 하향 조정된 기업은 12곳으로, 상향(5곳)보다 2배 이상 많다.

김용건 한신평 총괄본부장은 “고금리, 고환율, 고유가 환경이 길어지며 대부분 산업군 신용등급이 부정적 영향권 아래 놓일 것”이라며 “그 중에서도 건설,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타격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특히 “건설 부문은 분양경기 저하, 공사원가 부담으로 수익성이 떨어질 것”이라며 “본PF 전환이 계속 지연되면서 자금회수가 쉽지 않은데다 차환 과정에서 이자비용도 증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션 황(Sean Hwang) 무디스 시니어 애널리스트는 한국 기업들이 그동안 재무적 대응력을 갖춘 만큼 신용도 하락을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황 애널리스트는 “대부분 한국 기업은 신용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무디스가 평가하는 회사들은 주로 투자등급이기 때문에 유동성 위기와는 거리가 멀다”고 판단했다.


다만 그는 “산업별로 수급이 예상치 못하게 약화하거나 원화 절상이 급격히 이뤄질 경우 수출 기업 실적 회복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