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그대로인데 관리비에 허리 휜다...벌써 25조
2023.11.25 14:00
수정 : 2023.11.25 14:14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월세처럼 매달 들어가는 고정비용이 있다. 관리비이다.
그렇다면 관리비 시장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2022년 기준으로 무려 25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단지 기준으로 한 업체가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것이 관리비 시장이다.
아파트 시설 고급화와 비용 증가 등으로 관리비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관리비 투명성을 높이기 공개 대상을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깜깜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아파트 관리비로 쓱싹...벌써 25조원 육박
우선 공동주택 관리비는 크게 공용관리비, 개별사용료, 장기수선충당금 등으로 나뉜다. 공용관리비는 청소비, 소독비, 경비비, 승강기유지비 등이다. 위탁관리 수수료도 공용관리비로 부과된다. 개별사용료는 난방비, 급탕비, 전기료 등을 말한다. 입주자대표회의 운영비도 개별사용료에 포함돼 있다.
그렇다면 아파트 거주자의 경우 월 관리비로 얼마를 내고 있을까. 직방이 최근 설문조사한 자료를 보면 아파트 거주자들의 경우 매달 20만~30만원 미만이 4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관리비 금액 수준에 대해서는 응답자 대부분이 비싸다고 답했다. 아파트 거주자 73.2%가 현재 관리비가 적정 수준을 초과했다고 답한 것이다.
관리비 시장 규모는 매해 커지고 있다.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공개 단지의 관리비 총액이 2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현재 1090만 가구가 관리비를 공개하고 있다.
관리비 규모는 공개대상 증가 등으로 2019년 20조원에서 2020년 21조7000억원, 2021년 22조9000억원, 2022년 24조9000억원으로 늘었다. 올해는 26조원 가량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보 공개 확대...'깜깜이' 관리비 검증 한계
시장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한 업체가 독과점하는 구조다, 현재 대다수 아파트 단지가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위탁관리를 하고 있다.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관리비 공개단지 대상의 72.5%(804만가구)의 관리비 시스템을 A사 한곳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나머지 시장을 중소규모 전문업체와 건설사가 운영하는 자체 관리회사가 맡고 있는 셈이다. 현재 대형 건설사 중에서는 대우건설과 GS건설 등이 위탁관리 업체를 자회사로 두면서 자사가 시공한 단지 위주로 관리를 맡고 있다.
독과점도 문제지만 관리비의 가장 큰 문제는 ‘깜깜이’라는 것이다. 정부도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리비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공개대상과 항목도 확대 및 세분화 하고 있는 상태다.
문제는 여전히 ‘깜깜이’라는 점이다. 무엇보다 정보 공개 항목이 늘어도 관리비가 적정한 지 입주자들이 분석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위탁관리 업체 한 관계자는 “정보가 공개되면 일정 기준점이 생기면서 비교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하지만 적정한 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고 말했다.
직방 설문조사 결과 관리비 개선 사항으로 투명한 정보공개(42.2%) 외에 명확한 금액 산정기준(31.3%)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결국 입주자대표회의의 투명성과 역할이 가장 크다고 입을 모은다. 그렇지 않으면 ‘깜깜이’ 관리비 분쟁은 지속될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