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 먹을 각오하고 시작"…'개콘' PD가 본 3년만의 부활 ①
2023.12.08 07:30
수정 : 2023.12.08 07:30기사원문
(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지난 11월12일 KBS 2TV '개그콘서트'가 3년4개월의 공백을 깨고 돌아왔다. 지난 2020년 6월26일 1050회로 종영 후, 다시 부활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대한민국을 웃기는 힘'이 되겠다고 다시 시청자들의 곁으로 돌아온 '개그콘서트'는 방송을 재개한 1051회에서 전국 가구 기준 4.7%(닐슨코리아 제공)의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시청자들의 호평도 이어졌다.
이에 '개그콘서트'는 1052회에서는 3.2%의 수치로 시청률이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다시 꾸준히 시청률이 복구되면서 지난 3일 방송된 1054회는 3.6%의 성적을 거뒀다. 더불어 신윤승, 김지영, 남현승 등의 개그맨들이 시청자들에게 눈도장을 찍기 시작하면서 '개그콘서트'의 분위기를 다시 끌어올리고 있다.
'개그콘서트'를 연출 중인 이재현 PD는 이러한 흐름에 대해 최근 서울 영등포구 KBS 신관에서 뉴스1을 만나 "호평의 비율이 혹평을 넘어서기 시작했다"라고 자평했다. 1054회가 지나고 '개그콘서트'가 제대로 힘이 붙기 시작했다면서 이 PD의 자부심은 새로운 개그를 만들겠다는 자신감까지로 이어졌다. 이에 새롭게 태어난 '개그콘서트'가 과연 어떤 방향으로, 또 어떤 목적성을 가지고 유일하게 남은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으로서의 명맥을 이어갈지에 대한 이야기를 이 PD에게 자세하게 들어봤다.
-방송 후 호평도 있지만 호불호가 갈린다는 의견도 있는데.
▶저희가 포털사이트 실시간 리뷰창을 닫았는데 포털 사이트 쪽에서는 아쉽다는 의견을 주더라. 처음에는 혹평이 많았지만 3회를 넘어서는 완전히 역전이 돼 호평이 늘었다는 것이었다. 어쨌든 호불호가 갈린다는 평도 있지만, 객관적인 지표에서는 호평이 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몇몇 코너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도 충분히 좋다고 평가 중이다.
-실시간 리뷰창을 닫은 이유가 있나.
▶비방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받아들일 수 있지만 출연자의 외모를 평가하는 등 그런 반응도 있었다. 쉬운 결정은 아니었지만 그런 부분에 있어서 좋다고 볼 수는 없더라.
-초반의 호불호가 갈린 것에 대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분석했나.
▶일단 '개그콘서트'가 문 닫았을 때의 이미지도 있으니 저희도 욕을 먹을 걸 각오하고 시작했다. 사실 개그라는 소재 자체가 시청자분들이 어떤 콘텐츠보다 제일 잘 알아주시고 관심있게 보시는 콘텐츠다. 그만큼 시청자들의 높아진 눈높이를 맞춰야 한다는 생각에 욕을 먹을 걸 각오하고 시작했던 거였다. 다른 개그 콘텐츠를 보더라도 히트 코너 한두개가 전체 콘텐츠를 끌고 간다. 최근의 평가들을 보면 신윤승씨에 대한 반응도 좋고, 남동엽(남현승)에 대한 평가도 좋다. 저희 입장에서는 그런 코너들이 하나둘씩 늘어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저희 역시 모든 코너를 히트시키자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20~30% 정도의 히트 코너만 만든다면 시청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히트 코너들을 늘려나갈 어떠한 전략이 있나.
▶현재 '개그콘서트' 중심에는 신인 개그맨들이 다수다. 이들이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어나가면서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옷을 입으면 얼마나 잘할 것인지를 잘 알고 있다. 이들만큼 잘 웃기는 방법을 알고 있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지금은 이 사람들이 자기한테 잘 맞는 옷을 찾아가는 단계이고, 잘 맞은 옷만 잘 찾으면 30%의 히트 코너가 아니라 절반 이상도 나올 수 있을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고 있다. 혹평이 있었지만 호평이 있었던 코너들이 있었다는 건 우리 개그맨들이 모두 똑똑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조금씩 시청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코너들을 늘리려고 노력 중이다.
-최근 코미디 트렌드가 상황 중심의 콩트 보다는 캐릭터 중심으로 흘러가고 있는 상황인데, 캐릭터가 부각되기 힘든 코너들도 다수 있었다는 평가다. 이런 부분들은 어떻게 보완할 예정인가.
▶상황으로 웃길 것인가, 아니면 캐릭터를 잘 살려서 연기력으로 승부를 볼 것인가를 결정 짓는 게 정말 어려운 부분인 것 같다. 제 요즘 고민도 이런 경우다. 예전에 송준근, 신보라씨가 나왔던 '생활의 발견'이라는 코너를 보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 게 이 코너의 대본은 개그맨들이 봤을 때는 뻔한 상황들이다. 어디서 꺾어야 하는지가 다 보이는 콩트였는데 그걸 연기한 신보라씨라든지, 송준근씨의 연기가 정말 기가 막힌다. 그러면서 뻔한 개그가 웃긴 개그로 변화되는 거였다. 이런 연기력으로 만들어나가야 하는 개그들에서 가장 또 중심이 되는 게 캐릭터다. 하지만 요즘은 이런 캐릭터 플레이들도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지점들이 있다고 본다.
-어떤 이유 때문인가.
▶캐릭터 잡기가 제일 좋은 게 톤과 연기하는 사람의 특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니면 어떠한 것을 패러디해서 자기만의 것으로 내재해서 흡수하는 경우다. 보통 영화나 드라마의 캐릭터를 패러디하는 방식이 많았는데, 과거에는 전 국민적인 공감대가 만들어지는 영화나 드라마가 많았다. 그런 콘텐츠 속의 캐릭터들을 패러디하는 건 쉬운 일이었다. 근데 요즘은 그런 소위 '대박 콘텐츠'들이 없다. 그러다보니 패러디로 다양한 사람을 웃기는 것도 어려워진 거다. 최근에 가장 히트됐던 캐릭터 콩트가 배우 이경영씨를 패러디한 '경영자들'이지 않나. 이경영씨 대사도 벌써 10년이 넘은 콘텐츠들이다. 그만큼 예전보다는 다수가 알만한 콘텐츠들이 적다고 볼 수 있다. 다수를 아우르는 공감대도 적어지고, 대중의 관심사나 정서가 파편화되어 있기에 개그맨들이 웃음을 줄 수 있는 방법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N인터뷰】②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