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사, 판문점 근무자도 권총 착용...北 재무장에 대응 조치
2023.12.19 15:22
수정 : 2023.12.19 15:22기사원문
이날 유엔사는 "이 조치는 많은 주의를 기울여 취해진 것"이라며 "유엔사는 과거 합의대로 JSA를 무장해제하는 것이 한반도를 더욱 안전하고 평화롭게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대한민국 정부와 북한군 측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JSA가 대화와 정전협정 이행의 장으로 남을 것이라고 북한군 관계자들을 안심시켰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9·19 남북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북한이 이 합의에 따라 파괴·철수한 최전방 감시초소(GP)를 복원하는 작업에 착수한 데 이어 JSA 비무장화 폐기에 대응해 우리측 JSA 경비요원들도 재무장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측이 재무장한 시점을 묻는 질문에 "이달 초쯤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전 대변인은 '북한의 9·19 군사합의 파기와 JSA 재무장에 대한 대응 차원이냐'는 물음에 "그런 걸로 안다"며 "유엔사에서 민간인과 군 장병을 보호하기 위해서 그런 조치들을 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JSA에 근무하는 북한군이 지난달 말부터 권총을 휴대하자 정부는 이달 초 유엔사에 우리측 요원들의 무장을 요청했다.
지난달 22일 정부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대응조치로 9·19 군사합의 중 일부인 '비행금지구역 설정'의 효력을 정지하자, 북한은 이튿날 사실상 9·19 군사합의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
이어 북한은 지난달 24일부터 9·19 군사합의로 파괴·철수한 11개 GP에 병력을 투입해 감시소를 설치하고 무반동총 등 중화기도 반입하는 등 진지를 재구축하기 시작했으며 전면 해제됐던 JSA 내 병력의 무장도 재개했다.
한편 북한군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 내 갱도형 해안포 개문 사례도 급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