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난제' 기후위기·지역소멸, K스마트도시로 푼다

      2024.01.21 18:26   수정 : 2024.01.21 18:26기사원문

향후 5년간 추진되는 정보통신기술(ICT) 등 신기술을 접목한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의 윤곽이 나왔다. 'K-시티 네트워크' 사업 재편 등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에 나서고, 기후위기·지역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스마트도시 사업모델을 구축하는 방안이 담긴다. 특히 국내 스마트도시 활성화를 통해 인도네시아 신수도 사업 등 해외 스마트도시 추가 수주에도 나선다.



■'K-시티 네트워크' 사업 재편

21일 국토교통부와 업계에 따르면 오는 3월까지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24~2028)'이 수립된다. 이를 위해 오는 25일 국토연구원에서 스마트도시 종합계획과 관련한 공청회를 열고 초안을 공개한다.
스마트도시는 ICT·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적용해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도시를 말한다.

이 계획은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중장기 법정계획으로 5년 단위로 수립된다. 스마트 도시건설 기본 방향과 추진전략, 스마트 기반시설 구축 등이 제시된다.

초안에는 △스마트도시 해외진출 △새로운 스마트도시 △스마트도시 고도화 △민간 주도 스마트도시 등 4개 전략이 담겼다. 이 중 스마트도시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은 한국형 스마트시티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로 하고, 해외진출에 대한 적극적 지원에 방점이 찍혔다. 이를 위해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K-시티 네트워크' 사업을 재편할 계획이다. K-시티 네트워크는 해외 정부의 스마트시티 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우리 기업의 스마트솔루션 해외 실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국토부는 지난해 해외 스마트도시 지원사업인 'K-시티 네트워크' 사업에 인도네시아 신수도 누산타라·바뉴마스, 우크라이나 우만, 이집트 바드르, 아제르바이잔 아그담, 방글라데시 랑푸르, 베트남 하이퐁, 튀르키예 사카리아를 선정한 바 있다.

또한 대·중소 동반진출, 금융지원 등 전방위 수주 노력 등도 담긴다.

글로벌 스마트도시 시장은 연평균 18.4%씩 고속성장하는 추세다. 오는 2025년 약 24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성장세를 감안해 국토부는 스마트도시 등 해외건설 수주 시장을 견인하기로 했다.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 규모는 333억1000만달러(약 43조7000억원)다. 4년 연속 300억달러를 넘어섰다. 하지만 목표치인 350억달러에는 못 미치는 규모다.

■이달 말 공청회에서 세부방안 공개

새로운 스마트도시 사업모델 발굴, 도시데이터 기반으로 스마트도시 고도화, 민간 주도의 스마트도시 산업생태계 조성도 추진된다.

새로운 스마트도시 사업모델 발굴을 위해 도시 조성사업 종료 이후에도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점검하고, 기후위기와 디지털 포용성 등을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인구 감소로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도 고려하기로 했다.

도시데이터 기반으로 스마트도시 고도화를 위해선 다양한 도시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허브를 활성화한다. 이를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등과 연계해 고도화하기로 했다. 또 민간 주도의 스마트도시 산업 생태계도 조성한다. 스마트도시 산업 생태계를 주도할 수 있는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도시데이터와 실증공간을 제공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이달 공청회 이후 다음달 관계부처 의견수렴을 거칠 예정이다. 이어 오는 3월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청회에서 스마트도시 조성 및 관리·운영 등 중장기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 종합계획에 반영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방안은 공청회에서 공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