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은 출산 주저·저소득층은 포기…유전자녀·무전무자녀?

      2024.02.22 15:31   수정 : 2024.02.22 15:31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가난한 집일수록 아이를 낳지 못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태어나는 아이 중 열에 아홉은 중산층 이상에서, 열에 한 명만 저소득층에서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신간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에서 인용한 '소득 계층별 출산율 분석과 정책적 함의' 연구보고서를 보면, 소득계층에 따라 출산 비율에서도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진은 아이를 낳은 가구가 100가구 있다고 전제하고,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소득별 구간에 따라 저소득층·중산층·고소득층으로 나눠 비율 변화를 살펴봤다.

그 결과,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11.2%에서 2019년 8.5%로 2.7%p 떨어졌다.
100가구가 아이를 낳았는데, 그중 저소득층 가구 수는 9명이 채 안 된다는 의미다. 중산층 가구 비율도 같은 기간 42.5%에서 37.0%로 하락했다.

반면 고소득층 가구 비율은 46.5%에서 54.5%로 8%p 증가했다. 아이를 낳은 100가구 가운데 고소득층이 47가구에서 55가구로 늘어났다는 얘기다.

소득별 구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을 활용했다. 그에 따르면 중위소득의 75% 이하를 벌면 저소득층, 200% 이상을 벌면 고소득층이며 그 사이가 중산층이다.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2021년 1인당 중위소득(세후 기준)은 연 3174만원이다.
연간 2380만원 아래로 벌면 저소득층, 6348만원 이상 벌면 고소득층에 속한다.

정 교수는 "결과적으로 모두가 아이를 낳지 않기 시작한 시대이지만 고소득층은 그래도 아이를 낳고 있고, 중산층은 아이 낳기를 주저하고 있으며, 저소득층은 아예 출산을 포기하기 시작했다고 추측할 수 있겠다"며 "이제는 '유전자녀, 무전무자녀'라는 말이 생길 수도 있겠다"고 봤다.


저자는 이처럼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계층과 아이를 낳을 수 없는 계층 간 양극화를 비롯해 다양한 저출생·저출산의 원인을 책에서 살펴본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