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인 사칭 피해 눈덩이… 플랫폼들 추가 대응 검토

      2024.03.31 17:54   수정 : 2024.04.01 16:15기사원문
플랫폼 내 유명인 사칭 광고가 사회 문제가 되면서 국내 플랫폼 업계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해부터 내부 가이드를 수립해 피해를 막기 위한 선제 조치를 하고 있었으나 최근 심각성이 커지면서 추가 대안도 마련 중이다.

3월 31일 업계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9~12월 유명인 등 사칭 사기를 포함한 투자리딩방의 불법행위 피해건수는 1000건이 넘고 피해액은 1200억 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도 최근 국내외 주요 플랫폼에 '유명인 사칭 광고 피해 방지를 위한 자율 규제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대상에는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 운영사인 구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운영사인 메타가 포함됐다.


이에 네이버 밴드는 지난해 11월부터 사칭 계정이 개설한 밴드에 일괄적으로 제재를 가하는 등 징계 기준을 강화하고, 24시간 집중 모니터링 운영을 진행한데 이어 올들어 '활동 정책'에 '이용 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사칭 계정 및 사칭 밴드 정의와 징계 기준'을 명문화하기도 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추가 대응 방안을 빠르게 검토하고 있다"며 "고객센터, 신고센터 등에 사칭 사기 및 피해를 신고할 수 있는 추가 창구 준비를 중이고, 사칭 관련 키워드 검색 시 고객센터 도움말을 검색 결과 최상단에 노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카카오도 오픈채팅에서 발생하는 사칭 광고 피해에 대해 이용자의 신고를 바탕으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외부로 전체 공개되는 닉네임이나 방제목, 해시태그, 채팅방 커버 등에 대해 운영정책 기준으로 이용 제재가 마련돼 있다. 올해 고객센터 도움말 페이지에 '사기·사칭 신고' 설명 페이지를 추가할 예정이고, 수시로 금칙어를 강화해 해당 키워드 검색 시 노출 제한이 되도록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언론이나 이용자 신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시정 요구 등 다양한 채널 통해 사칭 사례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극 대응 중"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구글, 메타, X(옛 트위터) 등 글로벌 기업의 보다 적극적인 개선 노력과 협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사칭 광고가 해외 플랫폼에 올라온 후 국내 플랫폼사 서비스로 유입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며 "해외 플랫폼이 광고를 게재하기 전 사칭 광고를 면밀히 검토하고, 사용자 신고 인입 시 빠르게 삭제 및 징계 조치해야 문제가 빨리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