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인구 위기, 인재 양성으로 넘자

      2024.04.23 19:25   수정 : 2024.04.23 19:25기사원문
농가 인구가 줄고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더 이상 특별한 뉴스거리가 되지 않는 것 같다. 대부분의 언론은 지난 4월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를 짤막하게 인용하는 데 그쳤다. 농가 인구 추세의 의미와 중장기 영향을 좀 더 깊이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농업 인력 감소와 고령화는 농업투자 축소와 경쟁력 약화, 농촌지역 활력 저하를 부르는 결정적 요인이기 때문이다.

동 조사에 따르면 2023년 12월 1일 기준 농가 수는 전년보다 2.3%(2만3800가구) 감소한 99만9000가구가 되었다.
전국 총 가구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 대비 0.1%p 낮은 4.6%로 하락했다. 농가 수가 100만가구 미만으로 줄어든 것은 처음으로 농가 인구구성에서 하나의 변곡점을 지나갔다는 인상을 받았다.

농가 인구 감소세는 더 급격하다. 1년 사이 3.5%(7만7000명) 줄어든 208만9000명이 되었는데, 이는 5년 전과 비교하면 15만4000명이 감소한 수치다. 최근 1년 감소치가 그 이전 4년간 감소 규모와 거의 비슷하다는 이야기인데,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2024년 말 농가 인구는 200만가구 미만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

농가 인구가 초고령화 단계로 접어든 것은 오래되었는데, 그 정도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 여타 모든 연령구간의 인구가 줄어들었는데, 70세 이상 인구만 1.6%(1만1800명) 증가한 76만7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농가 인구의 36.7%에 해당하며 전년도 34.9%에 비해 1.8%p 상승한 것이다. 어쩌면 올해 말이나 내년에는 4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경영주 연령도 마찬가지다. 경영주가 70세 이상인 가구는 47만7000가구로 전체 농가의 47.8%가 되었다. 이는 전년 46만5000가구 대비 2.6%(1만2100가구)가 늘어난 것이다. 60대 경영주는 34만2000명(34.2%), 50대는 14만1000명(14.2%)이며 50세 미만 경영주는 3만8000명(3.8%)에 불과하다. 65세 이상 경영주는 66만4000명(66.4%)으로 한국 농업은 은퇴연령 이후의 노령층이 떠받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한국의 급격한 농업 구조조정은 우리 경제가 그만큼 선진화 속도가 빨랐기 때문에 일어난 동전의 뒷면과 같은 문제이다. 다만 구조조정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서 발생한 부작용은 창의적으로 극복해야 한다.

흔히 농업·농촌·농업인 정책을 묶어 '3농 정책'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 필자는 오늘날 한국 3농 문제의 핵심은 농업의 성장정체, 농촌의 공동화 위기, 농업인의 세대단절이라고 진단한다. 이 세 가지 문제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어려움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총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농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더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농가 연령구조 변화를 막기는 어려울 것이다. 농가 인구구조 개선을 궁극적 목표로 한다면 헛수고로 끝날 우려가 크다. 하지만 농업 인구 감소 현상을 보면서 비관하거나 포기하면 안 되며, 질적 개선을 추구해야 한다.

3농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는 농업인 정책, 즉 새로운 유형의 청년농을 양성하면서 고령농의 품위 있는 은퇴를 지원하는 것에서부터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업가 정신을 가지고 합리적·과학적 경영원리를 농업 현장에서 실천에 옮기는 청년농을 길러내는 것을 가장 우선해야 한다고 본다.

농업은 생산·유통·가공 및 식품산업 경영 전반에 성장동력을 불어넣고, 농촌은 쾌적한 생활거점과 경쟁력 있는 농림축산업 인프라가 균형 있게 배치된 공간으로 정비해 나가야 한다.


이런 변화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뛸 수 있는 핵심인재가 필요하다. 숫자에 집착하지 말고 유능한 청년을 길러내는 일에 집중할 때다.
어디서나 그렇듯 사람이 먼저다.

정현출 한국농수산대학교 총장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