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男, 심각한 수준"…결혼하기 힘든 '진짜 이유' 있었다

      2024.06.17 14:49   수정 : 2024.06.17 14:49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20%가량 많아 미혼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과거 남아선호사상,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가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미혼 남성, 여성보다 20% 더 많아…결혼하기 불리한 구조"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발표한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449호)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성비'(조성호 부연구위원)를 보면 2021년을 기준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이 가능한 많은 미혼 남녀가 매칭이 되더라도 남성이 남게 되는 것으로 보면, 인구학적으로 보면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그만큼 결혼하기에 불리한 구조인 셈이다.

이같은 불균형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특히 심각했다.


미혼 남성의 과잉 비율은 서울이 2.5% 수준이었고 부산도 16.2%로 평균보다 낮았지만, 경북(34.9%), 경남(33.2%), 충북(31.7%)은 30%를 넘었다.

결혼성비의 불균형은 남녀 간 미혼율의 차이로도 나타났다. 2020년 시점에서 1985년생(당시 35세)의 미혼율은 남성이 46.5%로 29.1%인 여성보다 훨씬 높았다.

남아선호사상·출산율 급감 영향…"1980~1990년 출생성비 불균형 탓"

이처럼 미혼 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큰 것은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오래 이어졌기 때문이다.

출생성비(출생 남아가 여아보다 많은 상황)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하는데,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까지 높은 수준이었다가 2007년부터 자연성비 범위 안으로 들어왔다.

이에 따라 결혼성비 불균형이 1990년대 초반 나타났고,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악화됐다.


남아 출생이 많았던 이유로는 남아선호사상과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자녀의 성 선택 욕구 증가(가족계획사업), 초음파 검사 등 자녀의 성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공급 등의 요인이 꼽힌다.

보고서는 '1970년부터 30년 이상 출생성비가 자연성비를 넘어서는 수준이 지속됐다"며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접어들었을 때 결혼성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결혼성비의 불균형이 특히 심각한 지역은 1980~1990년대 출생성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덧붙였다.

rainbow@fnnews.com 김주리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