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올 성장률 2% 초중반" 70%… 최대 악재는 고물가 꼽아
2024.06.19 18:56
수정 : 2024.06.19 18:56기사원문
창간 24주년을 맞은 파이낸셜뉴스가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각계 팀장·임원급 경제전문가 147명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이는 국제기구의 전망치와도 궤를 같이한다. 지난달 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행도 지난달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0.4%p 상향한 2.5%로 전망했다.
최근 '금사과' 등으로 불거진 가계물가 수준에 대해서는 '심각하다'는 인식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전체 응답자 중 현재 물가 수준이 '약간 심각하다'와 '매우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각각 56.2%와 27.4%로 나타났다. 반면 '보통이다'와 '심하지 않다'는 답변은 각각 10.9%와 5.5%에 불과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국은행이 제시한 물가안정 목표 2%에 도달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미만일 것이라는 응답은 3.4%에 불과했다. 반면 2.5~2.9%(37.4%) 또는 2.0~2.4%(25.9%) 전망이 과반을 차지했다. 심지어 3명 중 1명은 올해 소비자물가가 3%를 넘길 것으로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에 가장 우려되는 국내 경제의 대내 악재로 '고금리, 고물가 지속'(60.5%)을 지목했다. 다음으로 '재정건전성 악화'와 '정치 불안'이 각각 9.5%, '기업 투자·고용 부진'과 '가계부채 확대'가 6.8%씩을 차지했다. '부동산 시장 위축' 4.8%, '부동산PF 부실' 2.1% 등 부동산 관련 리스크도 뒤를 이었다.
대외 악재로는 응답자 중 39.5%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심화'를 꼽았다. 이어 '미국의 통화긴축 기조 지속' 23.1%, '중동 위기에 따른 유가급등' 21.1%, '미중 갈등 격화' 8.2%, '대중 수출 감소' 6.1% 순으로 응답했다.
현재 국내 금융·외환시장이 직면한 최대 리스크의 경우에도 '인플레이션 불안' 30.6%, '미국 연준의 긴축 기조' 27.9%가 1, 2위 불안요소로 꼽혔다. 이어 '가계·기업부채 부실화' 18.4%, '환율 불안정성' 10.9%, '전쟁 등 대외 지정학적 리스크' 3.4%가 뒤를 이었다.
한국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들이 완화돼 경제 정상화가 이뤄지는 시점은 내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예상되는 경제회복 시점은 '2025년 하반기'(35.2%), '2025년 상반기'(31.7%), '2026년 이후'(22.8%) 순이었다 . 반면 올해 하반기 회복 전망은 10.3%에 그쳤다.
중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에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은 '저출산·고령화 심화'가 지목됐다. 전체 응답자의 56.8%가 '저출산·고령화 심화'(생산가능인구 감소)를 중장기적으로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잠재성장률 하락세 지속' 20.6%, '가계·기업부채 부실화' 9.6%, '노동 시장 경직성' 6.8%, '부동산 등 자산시장 붕괴' 4.8%, '국가부채 급증' 1.4% 순으로 응답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