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CCTV로 범죄 징후를 미리 알아낸다
2024.07.18 09:14
수정 : 2024.07.18 09:14기사원문
CCTV와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해 사건·사고 발생 가능성을 알아내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최소 82.8%에서 최대 95%까지 범죄 예측 성능이 측정됐다.
18일 ETRI에 따르면, 인공지능융합보안연구실 김건우 박사팀은 CCTV 영상, 범죄 통계 정보, 측위 정보 등을 분석해 범죄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두 종류의 '데자뷰(Dejaview)'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김건우 박사는 "미래형 첨단 사회안전 시스템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며 "데자뷰 기술의 상용화 시점은 내년 말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우선 서울 서초구와 공동으로 지난 2018년부터 3년간 지역 내 3만2656건의 CCTV 사건·사고 빅데이터를 분석해 범죄 예측 지도(PCM)를 개발했다. 범죄 예측 지도의 예측 성능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성능시험을 통해 82.8%로 측정됐다.
과거 범죄 통계 정보를 기반으로 범죄의 발생 일시, 장소, 강력 범죄, 교통사고, 화재 등 사건 유형별로 정형화해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보여준다.
또한, PCM은 실시간 범죄 위험도를 화면에 제시한다. 관제사는 범죄 예측 지도를 통해 현재 지역별 범죄 위험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우선 관제하는 예측적 선별 관제가 가능한 셈이다.
다음으로 전자감독대상자의 이동 패턴에 따른 위험도를 분석해 개인 중심의 재범 예측 기술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재범 우려가 큰 고위험군 전자감독대상자에 국한돼 적용되는 기술이다.
현재 전자감독시스템은 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제한 규정 여부를 판단한다. 기존 시스템에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이 접목되면 전자감독대상자가 생업 등 사유로 인해 주기적으로 이동 제한 규정을 위반하면 AI 기술을 통해 이를 분석, 재범 위험도를 파악해 대응할 수 있다.
연구진은 "총 7397번의 일상 경보를 대상으로 TTA 인증시험한 결과, 전자감독대상자 위치 기반 위험도 분석 성능은 95%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추후 위치 정보 뿐만아니라 다양한 일상·면담·의료정보 등을 복합 분석하는 AI 전자감독시스템으로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