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한중국대사는 누구일까

      2024.08.12 18:05   수정 : 2024.08.12 19:10기사원문
지난 7월 10일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가 본국으로 귀임했다. 2020년 1월 코로나 발발 직후 부임했다가 약 4년 반 만이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7명의 역대 주한대사도 모두 크고 작은 갈등을 겪고 비판을 받았지만 한국 정치권의 보이콧까지는 없었다.

이렇게 정부·여당의 반감과 반발에는 미중 경쟁과 현 정부의 상호존중적 한중 관계란 구조적 문제 이외에도 두 가지 사건이 크게 영향을 미친 듯하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였던 2021년 7월 15일 한 언론 인터뷰를 싱 대사가 공개 반론한 바 있다. 윤 후보는 인터뷰에서 "공고한 한미동맹의 기본 위에서 가치 공유 국가들과 협력관계를 강화해야…수평적 대중(對中) 관계가 가능하다"고 했다. 이에 싱 대사는 바로 다음 날 '윤석열 인터뷰에 대한 반론'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 지난해 6월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회동에서 "미국의 승리에 베팅하는 이들은 나중에 반드시 후회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후 정부·여당의 싱 대사와의 만남은 기피되었다.

싱 대사는 북한에서 공부하고 남북한에서 모두 근무했으며, 중국 외교부 내 대표적인 한반도통이다. 2020년 2월 한국어로 부임 기자회견을 가질 정도로 한국어가 유창하다. 비(非)한국어 사용 대사는 통역을 씀으로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면, 한국어 사용 대사는 직접 주재국에 명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강점이 있다. 하지만 급변한 국제정세와 한중 관계로 인해 이번에는 결과적으로 양날의 검이 되었다.

그동안 주한대사 8명 중 한국어 사용자와 비한국어 사용자가 각각 4명씩이다. 한국어 사용자는 제1대 장팅옌(1992년 9월~1998년 8월), 제3대 리빈(2001년 7월~2005년 8월), 제4대 닝푸쿠이(2005년 9월~2008년 10월), 제8대 싱하이밍(2020년 1월~2024년 7월) 대사이다. 비한국어로는 제2대 우다웨이(1998년 9월~2001년 7월), 제5대 청융화(2008년 10월~2010년 2월), 제6대 장신썬(2010년 3월~2013년 12월), 제7대 추궈홍(2014년 2월~2019년 12월) 대사이다.

그럼, 다음 제9대 주한 중국대사는 누구일까. 최근 싱 대사 후임으로 국내 언론 하마평에 올랐던 일부 한국어 사용 후보군들은 대사가 되기 위한 경력이 조금 부족하였고, 가장 근접했던 한 후보는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미 부임했다. 만약 그가 한국에 발령이 났다면 시점상 그의 이전 대한(對韓) 강경 발언으로 국내 언론이 또 한번 출렁일 수 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이번에는 한반도통이 아닐 수 있다. 역대 주한대사 중 한반도통이 오지 않으면 주로 일본통(제2, 5, 7대)이 왔었고 국제통(제6대)이 한 번 있었다.

중국 정부는 전략적으로 여러 측면을 고려한 인사를 할 듯하다. 미중 관계, 친성혜용처럼 거시적 중국외교 방향 속에서 한국민의 대중(對中) 경계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물일 듯하다. 신임 주한대사 임명에서 중국이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를 어느 정도로 평가하는지, 향후 한중 관계를 어떻게 운용할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싱 대사가 귀임하기로 한 마지막까지 일부 국내 보수 언론들은 뒤끝 작렬했다. 그럼에도 그는 주한대사 임기로는 역대 3번째이고, 여전히 중국 외교부의 대표적인 한반도통이다. 그는 인생의 대부분을 남북한과 한반도 업무로 보냈다.
그는 지난 7월 9일 떠나기 하루 전날 이임식에서 중국인 사상자가 발생한 화성 화재 사고에 대한 한국인들의 애도와 위로에 감사를 표함으로써 마무리했다. 한국 입장에서 화가 나고 반감을 가지게 한 면도 있지만 한중 관계에 노력한 면도 있는 만큼 한중관계사(史)에서 그의 공과(功過) 평가는 균형을 잡아야 한다.
중국 내 한반도 전문가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한중 관계의 우호적 자산으로 인정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황재호 한국외국어대 국제학부 교수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