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조류, 항생제 내성 지닌 '슈퍼박테리아' 확산 매개"

      2024.08.14 04:56   수정 : 2024.08.14 04:56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도심에 서식하는 텃새들이 항생제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를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3일(현지시간) 청둥오리, 까마귀, 갈매기, 거위 등 도시에 둥지를 틀고 사는 텃새들이 먼 곳에서 날아오는 철새들에 비해 항생제 내성과 연관된 유전 지표를 최대 3배 넘게 보유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미생물저항성(AMR) 위협으로 인해 핵심 의약품의 효과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다.



아울러 동물이 걸린 병에 사람이 감염되는 이른바 인수감염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인수감염 질병으로는 조류독감 등이 있다.


논문 주저자인 영국 옥스퍼드대 생물학과의 새뮤얼 셰퍼드 교수는 "인간의 행동이 인수감염 질환과 AMR 확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셰퍼드 등의 논문은 이날 발간된 커런트바이올로지에 실렸다.

이번 연구에서는 AMR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광범위한 국제 공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 동물 보호구역, 공중 보건, 농업 등에 관해 광범위한 국제 공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국적 연구팀은 유럽 5개국과 일본, 미국, 캐나다 등 모두 8개국에서 야생조류 30종을 대상으로 검체를 채취했다. 이들의 위에서 박테리아 샘플 700개를 채취해 조사했다.

조사 결과 도시 지역에 집중적으로 서식하는 텃새들이 AMR과 연관된 유전자 지표가 외곽 지역에 사는 조류들에 비해 더 많았다.

AMR 마커 유전자는 폐렴부터 요로 감염병 등의 치료제로 사용하는 플루오로퀴놀론계(fluoroquinolones)와 같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경우가 흔하다.

연구진은 슈퍼박테리아 확산을 막기 위해 당국은 사람들이 이들 도심 조류에 접촉하는 것을 줄이는 강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새들이 도심에 집단으로 모여 앉아있지 못하도록 하고, 하수와 동물 분변도 관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특히 하수가 정화되지 않고 강으로 흘러가 그곳에 사는 야생동물,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사람들이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