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41% 돈 벌어 이자 못 갚는다

      2024.08.18 18:39   수정 : 2024.08.18 18:39기사원문
지난해 돈을 벌어서 이자도 못갚는 상장사가 1000곳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코스피, 코스닥을 합친 상장사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다.

1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인 상장사는 총 971곳(영업적자 포함)으로 집계됐다.

집계 가능한 코스피, 코스닥 상장사 2352개 기업의 41% 수준이다. 2020년 말 기준 832곳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3년 새 약 140개 늘었다.


올해 1·4분기에는 실적이 집계된 상장사 1691개 중에서 794개의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약 47%에 해당한다. 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진 데다 글로벌 경기 불황, 업황 부진 등으로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한 영향이다. 이자보상배율은 회사가 벌어들인 영업이익으로 부채의 이자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수치화한 것으로, 이 수치가 낮으면 기업의 이자지급 능력이 낮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1배 미만으로 나타나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낼 수 없다는 의미다.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배 미만이면 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대기업 계열사도 예외가 아니다. 롯데하이마트의 경우 2022년 영업적자를 기록한데 이어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은 0.24를 기록했다. 롯데쇼핑은 수년째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은 0.85였고 올해 1·4분기는 0.73을 가리키고 있다. 한진칼도 수년째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형편이다. 코오롱은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0.85를 기록하며 1 미만으로 떨어졌고, 올해 1·4분기는 0.73이다. 코오롱글로벌도 2021년 이자보상배율이 17.07이었으나 2022년 8.99, 2023년 0.26으로 '뚝' 떨어졌다. 올해 1·4분기 기준으로는 0.05에 불과하다.

영화 상영관 사업을 하는 CJ CGV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코로나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은 CJ CGV는 3년 이상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이 됐다.

이렇다 보니 은행권 대출 연체율도 증가하는 추이다.
금감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은행에서 기업대출 연체율은 2022년 12월 말 0.27%에서 지난해 말 0.52%로 높아졌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