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28조 먹거리"… SAF 상용화 속도 내는 정유업계

      2024.08.18 18:45   수정 : 2024.08.18 18:45기사원문
정부가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 활성화 방안을 이달 말 발표하면서 국내 정유업계가 SAF 상용화에 바짝 속도를 내고 있다. 당장 내년부터 유럽연합(EU)이 기존 항공유에 SAF 사용을 최소 2% 이상 의무화하는 등 글로벌 시장이 열릴 예정이라 항공유 수출 1위인 한국은 미래 먹거리인 친환경 항공유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가 발등의 불이 되고 있다.


■정유업계, SAF 전문공장 검토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정유사들은 SAF 시대를 맞아 전용공장 구축 검토, 원료 확보 등을 통한 제품 상용화 도전에 한창이다.



에쓰오일은 올해 하반기 SAF 생산 전용공장 구축을 위한 타당성 검토에 들어갈 계획이다. 아직 국내에 SAF 전용시설이 전무해 미래 SAF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문시설 구축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따르면 전 세계에 구축된 SAF 전문 생산시설은 총 320여곳에 달한다.

에쓰오일은 올해 1월부터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기존 정제설비에서 폐식용유 등 바이오 원료를 처리해 SAF 제품을 생산해왔다. 지난 4월에는 지속가능성 및 저탄소 제품에 대한 친환경 국제인증 제도인 ISCC 인증도 취득했다.


HD현대오일뱅크는 지난 6월 국내 업계 최초로 SAF 수출에 성공했다. 해당 제품은 기존 정유설비에 석유 기반 원료와 동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함께 투입하는 '코프로세싱' 방식으로 생산됐으며, 일본 ANA항공이 사용할 예정이다.

GS칼텍스는 지난해 9월 국내 정유사 최초로 대한항공과 SAF 시범운항 사업을 실시했다. 핀란드 네스테에서 공급받은 SAF를 인천~로스앤젤레스(LA) 노선 화물기에 급유해 3개월간 진행했다. 원료 확보를 위해 포스코인터내셔널과 인도네시아에 바이오 원료 정제공장 건설도 추진 중이다.

아울러 SK이노베이션도 바이오 원료 생산업체 투자를 통해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올해 말 SAF 생산 테스트를 할 계획이다. 현재 미국 인피니움사와 그린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통해 SAF를 생산하는 이퓨얼 기술개발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SAF 시장 성장세는 폭발적이다. 시장조사기관 모더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AF 시장 규모는 2021년 7억4550만달러(약 1조원)에서 2027년 215억달러(약 28조원)까지 커질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 항공 분야 탄소감축 기준이 강화되는 영향 때문이다.

■SAF 밀어주는 EU·日·美

우리나라는 주요국에 비해 SAF의 제도적 기반 마련이 뒤처졌다. 올해 1월에야 SAF 생산을 위한 근거 법령인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석유사업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이달 초부터 시행되는 등 정유사들이 합법적으로 정제공정에 바이오 연료를 활용하는 데 제약이 따랐다.

다만 오는 30일 정부의 SAF 로드맵이 발표되면 국내 산업 활성화 및 상용화 인프라 구축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 일본, 미국 등은 발 빠르게 SAF 사용 확대를 위한 규정과 지원책을 마련해 산업 육성 측면에서 앞서 있다. 지난해 4월 EU는 2025년부터 역내 이륙하는 모든 항공기에 소요되는 항공유에는 SAF를 혼합하도록 의무화했다. 전체 항공유 중 SAF 사용 비중을 2025년 2%에서 2050년 85%까지 점진적으로 높이도록 설정했다. EU 혁신기금을 통해 SAF 생산시설 건설도 지원한다.

일본도 지난 5월 2030년을 기준으로 일본 항공사의 연료소비량 10%를 SAF로 대체하는 의무화 규정을 정했다. 싱가포르도 2026년부터 SAF를 1% 이상 의무사용하도록 규정했다.
싱가포르는 혼유 비율을 2030년까지 최대 5%로 높일 방침이다.

미국은 SAF 혼합을 의무사항으로 지정하지는 않았지만 2030년까지 SAF를 연간 최소 30억갤런 이상으로 생산, 항공연료 수요의 10%를 대체하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주요국은 친환경 연료를 국가전략산업으로 보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며 "한국은 기술개발과 생산시설 구축, 연료공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 항공사 지원 등을 통해 항공유 최대 수출국으로서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유인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