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과부하 막는다" 전문의 진찰료 100% 인상, 경증은 분산
2024.08.20 13:27
수정 : 2024.08.20 13:27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응급실을 찾는 환자 중 40% 이상이 경증 환자고 응급실 '뺑뺑이'가 늘면서 정부가 응급실 과부하 해소에 나선다.
20일 정통령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응급실 진료 관련 브리핑에서 "최근 의료계 집단행동의 영향으로 일부 응급의료기관에서 일시적으로 진료 제한이 발생했지만 이는 전체 응급 의료기관 408곳 중 1.2%인 5곳에 해당한다"며 "응급실 기능이 완전히 마비된 것이 아니라 기능이 축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재 운영이 제한된 응급실도 신속하게 정상화하고 진료를 개시할 예정이다.
정부의 의대 증원 등 의료개혁에 반발하며 전공의들이 병원 현장을 떠나면서 의료진의 피로는 계속 누적되고 있고, 특히 응급실 진료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의정갈등이 6개월째 접어들면서 이 같은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작년 말 1418명에서 최근 1502명으로 늘었지만, 전공의 500여명이 빠져나가면서 이전과 같은 수준의 진료에 제한이 생겼다.
정부는 응급실 과부하를 해소하기 위해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에 나선다.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100% 인상하고, 경증 환자를 이송하는 등 지침을 마련한다. 최근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44%는 경증·비응급 환자였던 만큼 이들을 동네 병의원으로 분산하면 응급실의 대응력을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복지부는 경증 환자로 북적이는 응급실의 체질을 바꾸기 위해 수가 인상과 당직 수당 지원을 지속하고 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 의료비 본인 부담을 단계적으로 높일 예정이다.
한편 응급실 과부하 상황 속에서 최근 코로나19가 다시 유행하면서 응급실 내원 환자도 평시 수준을 웃돌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응급실을 방문한 코로나19 환자의 대부분(95% 이상)은 중등증(중증과 경증 사이) 이하에 해당해 동네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다. 응급실을 찾지 않더라도 지역에서 치료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 정책관은 "공공병원 등에 야간·주말 발열클리닉을 운영하고, 코로나19 거점 병원으로 지정·운영된 경험이 있는 병원들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해 코로나19 환자를 입원 치료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상황이 더 악화하면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270병상)과 긴급치료병상(436병상) 보유 병원, 중앙·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등 감염병 관련 의료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서 대응할 계획이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