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쳐야 산다"… 벼랑 끝 공유 킥보드, 생존 전략은 합종연횡

      2024.08.28 18:24   수정 : 2024.08.28 18:24기사원문
국내 공유 킥보드 시장이 대형사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헬멧 착용 의무화부터 견인조치 등 킥보드에 대한 규제가 지속되면서 소규모 업체들의 사업 운영이 쉽지 않은 탓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인수·합병(M&A)이 생존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퍼스널 모빌리티(PM) '씽씽'을 운영하는 피유엠피는 '킥고잉'을 운영하는 올룰로와 합병을 결정했다. 합병 후 피유엠피가 존속법인으로 남으며 김동현 대표가 최고경영자(CEO)를, 최영우 올룰로 대표가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맡기로 했다.
다만 각 브랜드는 유지하고, 앱 내에서 모든 기기를 연동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피유엠피와 올룰로는 이번 합병을 통해 통합 가입자 수 500만명에 달하는 메가 플랫폼 PM 서비스를 운영하게 됐다는 입장이다. 이를 통해 기기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 매출을 확대하고, 시장 점유율을 늘려가겠다는 목표다.

김동현 피유엠피 대표는 "이번 합병을 계기로 매출 성장과 함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더 넓은 지역에서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통해 PM 시장 내 선도적 입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두 기업의 합병 이면엔 경영상의 어려움이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각종 규제로 비용 증가와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합병을 통해 기기 대수를 확대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여 시장에서 생존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현재 공유 킥보드 업계는 운전면허증 보유, 헬멧 착용 의무화 등의 규제를 받고 있다. 여기에 더해 서울시가 킥보드 불법 주차를 막기 위한 강제 견인 조치까지 시행하며 견인비용 4만원과 30분당 700원의 보관료까지 부담 중이다. 실제 한 대형 업체의 월 견인료만 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일부 소규모 업체들은 사업 운영이 어려워져 문을 닫았고, 글로벌 업체들은 한국에서 사업을 철수했다. 큰 업체가 작은 업체를 인수하거나 자산을 양수하는 사례도 이어졌다. 지난 2022년 '지쿠'를 운영하는 지바이크는 경기 성남시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GUGU킥보드 사업을 인수했다. 최근에는 '스윙'을 운영하는 더스윙이 '디어' 운영사 디어코퍼레이션과 자산양수 계약을 체결했다. 더스윙은 디어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킥보드 기기들과 앱 디어(DEER)의 운영을 모두 맡기로 했다.

이런 상황에서 피유엠피와 올룰로의 합병도 생존을 위한 일종의 자구책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적인 설명이다. 실제 피유엠피는 지난해 31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전년 대비 적자 폭이 3배 가까이 뛰었다. 올룰로 역시 적자가 2022년 36억원에서 지난해 53억원으로 약 1.5배 커졌다.

이번 두 기업의 합병으로 지난 2020년 20개에 달하던 PM 업체 수는 이달 기준 7개로 줄어들었다.
이 중 서울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업체는 더스윙, 지바이크, 빔모빌리티, 피유엠피 4개사 뿐이다. 업계는 공유 킥보드 시장이 앞으로도 빠르게 대형사 위주로 재편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공유 킥보드를 둘러싼 규제가 계속되는 한 국내 킥보드 시장은 더 이상 커지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사업을 다각화 하거나 해외 진출을 통해 수익을 내는 주요 사업자 위주로 재편될 것"이라고 말했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